충남 도청을 옮긴다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대전시 중구 선화동에 자리잡은 충남도청 전경.

대전에 있는 충남도청이 과연 충남 지역으로 옮겨갈 것인가. 만약 이전한다면 규모는 어느 정도가 될까.

광주에 있는 전남도청이 19일까지 신청사(전남 무안군 삼향면 남악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여건이 비슷한 충남도청 이전 여부에 대전.충남 주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충남도청이전추진위원회(위원장 김유혁 금강대 총장)가 충남발전연구원에 의뢰해 마련, 최근 공개한 도청 이전 관련 연구 용역 결과를 토대로 이전 계획을 알아본다.

◆도청 이전할까=큰 행정기관을 이전하는 문제는 매우 정치적인 사안이다. 게다가 일부 학계와 시민단체는 '지방행정 광역화 추세' 등을 근거로 대전-충남, 광주-전남, 대구-경북 등 6개 시.도는 종전처럼 2곳씩 합쳐져 단일 행정구역이 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정치권과 정부에서는 광역자치단체(시.도)를 폐지하고 시.군을 2~3곳씩 묶는 행정구역 통합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대전.충남이 다시 합쳐지는 것은 전국적인 행정구역 대 개편이 있지 않는 한 어려울 전망이다. 사정비 비슷한 전남도가 이미 도청을 이전하고 있는 데다, 염홍철 대전시장도 통합에 반대하고 있다.

이와 관련, 도청이전추진위원회는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과 주민 공청회 등을 거쳐 연말까지는 도청 이전 예정지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로 내년 지방선거(5월 31일) 전까지는 최종 후보지가 발표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정 지역을 후보지로 발표하면 탈락한 다른 지자체와 주민들의 반발이 커 신당 창당을 추진하는 심대평 지사가 정치적으로 큰 부담을 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전 규모는=행정기관 이전에는 양면성이 있다. 대규모로 이전하면 효과는 크지만 돈이 많이 든다. 반면 규모를 줄이면 돈은 적게 들지만 효과가 줄어든다. 현재 충남발전연구원이 제시하는 이전 형태는 세 가지다.

①도청만 이전=인구 1만~5만명의 소도시 형태가 된다. 이전 비용은 도시 면적이 20만평이면 3822억원, 50만평이면 6555억원 정도가 들 것으로 추산됐다.

②신시가지형=기존 도시 주변에 시가지를 조성, 교육청 등 관련 기관 114곳을 도청과 함께 이전하는 경우. 개발 규모가 100만평(상주인구 5만명)이면 1조1110억원, 200만평(인구 10만명)이면 2조222억원의 이전 비용이 든다.

③신도시형=새로운 도시를 건설, 공기업(18곳).국가기관(31곳) 등 203곳을 도청과 함께 이전하는 경우. 인구 15만명(300만평) 규모로 도시를 만들면 2조2951억원, 20만명(500만평) 이면 3조6919억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

전남도청이 이전하는 남악신도시(270만평)에는 법원 등 78개 공공기관이 입주, 인구 10만명 규모로 육성된다.

따라서 충남도청 이전 예정지는 신시가지나 신도시형 중 한 가지로 조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 도청 부지 활용 방안=대전시 중구 선화동 287에 있는 현 충남도청은 1932년 도청이 공주에서 대전으로 이전하면서 지어졌다.

대전시는 1000억원의 예산을 투입, 도청이 이전하면 부지(2만5456㎡.7714평)를 충남도로부터 사 들여 중앙공원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2002년 문화재청이 등록문화재로 지정한 도청 건물은 박물관으로 조성키로 했다.

최준호.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