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토요 이슈] 국내 대책은 어떻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 실제 대응 능력 키워야=당시 훈련 시나리오는 1500만 명이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자가 9만~45만 명에 이를 것으로 가정했다. 질병관리본부의 허영주 역학조사과장은 "훈련을 위해 실제 예상치보다 심각한 상황을 가정했다"고 설명했다. 허 과장은 "조류독감 대처 지침 등은 이미 마련돼 있지만 문제는 실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3월에 실시된 훈련엔 행정자치부의 상황실과 16개 시.도의 '지역 재난안전 대책본부'가 동시 가동돼 웹 화상회의 시스템, 비상전화회의, SMS서비스 등을 점검했다. 내년에도 3월이나 9월께 모의훈련을 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WHO 서태평양지역본부가 있는 필리핀 마닐라에 전문가 한 명을 파견해 조류독감 관련 조사를 위한 국제 공조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농림부와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4월 인수(人獸)공통전염병 대책위원회를 구성했다.

◆ 격리실 등 최악 상황 대비 없어=국내에서 아직 조류독감의 사람 감염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만약의 경우에 대비한 치료약 '타미플루'는 70만 명분만 확보된 상태다. 이 정도 비축분으로는 비상시 의료 종사자나 군인.노약자 등 필수인력에 대한 긴급 방역용으로도 모자란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질병관리본부는 내년에 구매하기로 한 20만 명분 외에 추가 구매하는 방안을 당정 협의 등을 통해 조만간 결정할 방침이다.

하지만 타미플루는 다국적 제약사인 로슈의 독점 생산품이어서 각 국의 기존 주문량도 맞추기 어려운 상황이다. 고려대 의대 천병철(예방의학과) 교수는 "타미플루는 유효기간(5년)도 있는 약품이기 때문에 무작정 비축량을 늘리기보다는 비축분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배분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치료약에 내성이 생길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그런 경우 환자들을 최대한 격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허 과장은 "환자 발생 시 격리치료할 무균병실이 아직 한 곳도 없다"고 털어놓았다. 2003년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의심환자가 발생했을 때도 컨테이너 임시병실을 만들어 진료, 국공립병원에 무균격리병실을 마련해 둬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러나 병실당 3억원가량 드는 비용 문제로 아직 예산조차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 예방이 우선=농림부는 11월부터 내년 2월까지를 특별방역기간으로 정했다. 조류독감이 겨울 철새를 통해 국내에 유입되기 때문이다. 특히 닭.오리 등을 수입할 때 초기 3회 연속으로 검사하고, 이후 수입 10회에 한 번씩 검사를 되풀이하기로 했다. 또 공항과 항만에 배치한 검역관 및 검역탐지견을 늘려 해외 여행객의 휴대품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국내 방역을 위해서는 경기도 이천, 충남 천안 등 전국 21개소에 달하는 집중관리대상지역의 농가에 대해 사흘 간격으로 닭.오리에 대한 임상관찰을 하고 있다. 또 10월부터 전국 24개소에서 철새의 분변을 검사하고, 11월부터는 900개 농가를 대상으로 오리 혈청검사를 할 계획이다. 농림부 관계자는 "닭.오리 등을 키우는 사람들은 철새 도래지에 가지 말아야 하고, 부득이하게 갔을 때는 집으로 돌아오기 전에 신발을 세척.소독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예방 백신을 개발.생산할 녹십자 공장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전남 화순에 2008년께 준공될 예정이다.

김종윤.김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