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업자 5명 중 1명, 1년 이하 계약직으로 사회생활 시작…이직율은 두 배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청년 취업자 5명 중 1명은 직장생활을 1년 이하의 계약직으로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발표된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하고 처음 가진 일자리가 1년 이하 계약직이었던 만 15∼29세 청년을 76만1000명이다. 이는 전체 청년 취업자의 19.5%를 차지한다. 첫 직장이 1년 이하 계약직인 청년 취업자 비중은 2013년의 21.2%보다는 소폭 낮아졌다.

그러나 이 비중은 2008년 11.2%였으나 2009년 12.4%, 2010년 16.3%, 2011년 20.2%로 급격히 증가한 바 있다. 2011년부터는 4년째 20%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계약기간이 따로 없이 계속해서 근무 가능한 직장에 취업한 청년은 지난해 242만명으로 전체 청년 취업자의 62.1%였다. 안정적인 일자리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한 청년 비중이 2013년의 60.5%보다 늘어난 셈이다. 그러나 계약기간이 끝나면 그만둬야 하거나 일시적으로 일할 수 있는 곳을 첫 직장으로 잡은 청년 비중도 34.8%에 달한다.

한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3년 비정규직 이동성 국가 비교’ 자료에 따르면 한국에서 비정규직이 1년 뒤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11.1%였다. 반면 계속해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비율이 69.4%, 아예 실업 상태로 떨어지는 비율은 19.5%였다. 비정규직이 3년 뒤에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22.4%로 다소 높아지지만, 여전히 비정규직으로 머무는 비율이 50.9%에 달했다.

계약기간이 끝나서 이직했다는 청년은 10.0%로 2004년(5.3%)의 두 배로 늘었다.

온라인 중앙일보
‘청년 취업자 5명 중 1명’‘청년 취업자 5명 중 1명’‘청년 취업자 5명 중 1명’ [사진 드라마 미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