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홍보특보 신설 유력 … 연말 친박 만찬서 중진들 제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박근혜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에서 밝힌 특보(특별보좌관)단은 어떻게 구성될까.

 박 대통령은 회견에서 “주요 수석들과 유기적으로 잘 연결이 되면서 일을 더 효율적으로 해낼 수 있도록 주요 부문의 특보단을 구성하려 한다”고 밝혔다. 특보단의 역할로는 “국회나 당·청 간에도 좀 더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정책도 협의해 나가는 구도를 만들고, 청와대에서 여러 가지로 뭘 알리는 부분이 부족한 부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조직 개편에서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구상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이 밝힌 국회 및 당·청 소통업무는 정무 기능이며 ‘알리는 업무’는 홍보 기능이다. 정무와 홍보특보단은 필수적일 것으로 보인다.

 특보단 신설 아이디어는 연말 ‘친박 중진 만찬’에서 나왔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최경환 경제부총리와 서청원 최고위원 등 친박 중진 7명의 청와대 만찬 때 특보단 신설을 건의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정무·홍보 분야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은 여권에서 꾸준히 제기돼 온 상태다. 새누리당에선 아예 정무장관제 신설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정무장관제를 신설하려면 정부조직법을 개정해야 하는 만큼 박 대통령은 시행령만 고치면 만들 수 있는 특보단 신설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전 대통령도 재임 시절 청와대를 떠난 핵심 참모들을 특보로 수혈한 예가 있다. 집권 2년차이던 2009년 8월 말 강만수 전 기획재정부 장관과 맹형규 전 청와대 정무수석을 각각 경제와 정무특보로 임명했다. 2010년 말엔 지방선거에서 대패한 위기 국면에서 이동관 전 홍보수석, 박형준 전 정무수석을 각각 언론 및 사회특보로 발탁했다. 김덕룡(국민통합)·유인촌(문화)·이희원(안보) 특보(비상근) 등도 기용했다.

신용호·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