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스포츠 비리 척결 의지 재천명

중앙일보

입력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가 스포츠 비리 척결에 대한 의지를 재천명했다.

문체부와 경찰청은 28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체육계 비리에 대한 중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문체부는 지난 2월부터 스포츠4대악신고센터를 신설하고 스포츠비리 제보를 직접 접수했다. 5월부터는 경찰청과 합동수사반을 운영해왔다. 현재까지 신고센터에 접수는 신고 건수는 269건으로 이 중 118건이 수사 종결됐다. 합동수사반은 그동안 관련 단체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자료를 확보했고, 1만 건의 금융 계좌와 40만 건 이상의 거래내역을 분석했다. 전지훈련지에서의 훈련비 횡령 사실을 입증하기 위해 해외 현지 조사도 벌였다.

문체부는 수사 결과를 토대로 형사처벌·징계 등 비리 관련자를 스포츠 현장에서 퇴출시키는 한편 재발 방지를 위해 근본적 시스템 개혁에 착수했다. 체육 비리자에 대한 무관용 원칙(원 스트라이크 아웃)의 제도화, 체육단체 재정의 투명화, 학교 운동부의 음성적 비용구조 양성화, 체육 비리 전담 수사 기구 상시화 등의 원칙도 마련했다.

문체부는 이날 중간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도 개선 방안 및 운영 방향 등을 밝혔다. 우선 조직사유화를 기반으로 한 조직적 예산 횡령에 대해 영구 퇴출 등 처벌을 강화한다. 체육특기자 입시비리가 적발된 고교·대학에 대해서는 신입생 선발 및 경기 출전 제한 등의 조치도 검토한다.

학교 체육 정상화를 위해 학부모의 부담을 가중하는 학교운동부의 국외 전지훈련 원칙적 제한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실업팀과 경기단체에 대한 지자체 지원금 집행시 표준후원계약서 등을 마련해 투명화에 좀 더 신경 쓸 계획이다. 상시적인 수사체계 구축을 위해 경찰청 내부에 스포츠비리전담수사반도 구성한다. 합동수사반은 현재 진행 중인 수사를 마무리한 후 폐지된다.

김종 문체부 제2차관은 "스포츠는 공정성이 핵심적인 가치다. 체육계 정상화는 큰 의미가 있다"며 "정부는 부정과 비리에 즉각적이고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김원 기자 raspo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