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달라지는 수도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울 강남의 붐 타운-. 배밭과 울창한 수목, 한강지천인 양재천의 수초와 갈대만 무성하던 개포동일대(10개동·2백75만4천3백90평)가 택지조성과 아파트 건축 붐으로 술렁이고 있다.
지난해 택지조성이 이미 끝난 주택공사 1단지에는 올들어 5층 아파트 4천2백60가구가 들어서 임주를 끝냈으며 양재천 양쪽으로 민간주택 건설업자들이 짓는 고층 아파트타운이 줄지어 들어서고 있다.
그러나 70년대 말 농촌주택개량사업으로 들어선 고급주택과 대를 이어 살아온 기존주택이 헐리는데 따른 민원, 울창한 수림대를 마구 파헤쳐 녹지를 파괴하는 환경보전시비가 두드러져 개발계획을 일부 바꾸지 않을 수 없는 진통을 겪고 있다.
개발현장 도곡동 은마아파트 단지와 이웃한 대치동을 비롯 ,도곡·개포·양재·우면·통이·역삼·원지·신원동과 경기도 시오군 과천면 주암리일부 등 10개동 2백75만4천3백90평에 아파트 건설을 위한 택지조성공사가 한참이다.
올 봄(지난3월)부터 아파트건설업체인 우성 경남 삼익 선경 쌍룡 삼보 한국도시개발 금호건설 동신주택 등이 1만∼2만평의 아파트부지를 확보해 택지조성을 끝내고 아파트건설에 착공, 이달 들어 우성 선경 등이 고층 아파트 분양을 이미 끝냈다.
이들 아파트건설업체들은 서울시가 구획정리사업이 마무리 되기 전이라도 아파트를 지을 수 있도록 허용하자 권리면적의 70%를 우선 가환지 받아 아파트건립을 서두르고 있다.
유통·문화시설 개포지구는 영동에 이어 25만명을 수용하는 강남 제 2의 핵생활권으로 조성된다.
「베드타운」으로 조성된 영동·잠실·과천지구와는 달리 강북4대문 안 도심에 나가지 않아도 생필품을 비롯, 문화생활을 할 수 있도록 대단위 백화점 등 유통시설과 예식장·극장·도서실·학교 등 문화시설과 행정업무기능 등 모든 도시기능을 갖춘다.
도로·교통 경부고속도로가 이웃해있고 남부순환도로가 이 지역의 남쪽으로 뚫려 도로사정은 비교적 좋은 편.
특히 서올에서는 처음으로 버스가 간선도로변에 정차하지 않고 인도쪽으로 홈을 파 정차할 수 있도록 하는 버스정류장 포맷이 설치된다. 지하철 3호선이 양재역에서 성남까지 연장되면 이 지역주민들은 지하철을 이용하게 된다.
토지이용계획변경 개발 대상이었던 기존 주택지구와 농촌개량주택을 보존하고 수목이 울창하고 지형이 급한 일부지역을 개발대상에서 제외할 계획이다.
이에따라 ▲연구단지와 유통단지로 지정했던 우면동 111일대 농촌주택개량지구 9천1백평을 비롯, 고급주택들이 들어선 시흥군 과천면 주암리 1의 7일대 1만4백평 ▲5층아파트 단지로 지정된 개포동 744일대 기존주택지 1만6천6백명과 도곡동326일대 3만5천8백평 등 모두 7만6천2백70평을 단독주택으로 바꾼다.
또 수목이 울창하고 경사가 심해 개발할 수 없는 우면동 산21일대 1만3천6백평은 사업지구에서 제외하는 대신 3개지역 1만2천70평을 사업지구에 포함시키고, 영동·개포사이의 양재동 114일대 4천3백70평도 사업지구에 포함시킬 계획.
한강오염 하수와 빗물을 따로 분리, 생활하수만 흐르게 하는 하수관로를 별도로 설치할 계획이지만 생활하수가 탄천으로 흘러들게 돼 86년까지 건설 될 탄천 하수종말처리장이 완성되기까지는 한강에 생활하수를 그대로 버려 수질오염을 더하게 된다.
이와 함께 양재천 개발 계획이 포함돼 있지 않아 물이 흐르지 않는 하천이 방치되고 이곳에 각종 병해충으로 주거환경이 매우 나빠질 우려가 있다.
2천7백70평을 사업지구에 포함시키고, 영동·개포사이의 양재동 114일대 4천3백70평도 사업지구에 포함시킬 계획.
한강오염 하수와 빗물을 따로 분리, 생활하수만 흐르게 하는 하수관로를 별도로 설치할 계획이지만 생활하수가 탄천으로 흐러들게 돼 86년까지 건설될 탄천하수종말처리장이 완성되기까지는 한강에 생활하수를 그대로 버려 수질오염을 더하게된다.
이와 함께 양재천개발계획이 포함돼 있지 않아 물이 흐르지 않는 하천이 방치되고 이곳에 각종 병해충으로 주거환경이 매우 나빠질 우려가 있다.
기존주택철거 보상문제로 실랑이를 벌여오던 단독주택의 철거문제가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서울시는 당초 46가구의 단독주택 중 무허건물 13동은 강제철거하고 나머지 33가구에 대해서는 브상금을 주어 철거시키려 했으나 주민들은 가구당 보상비가 최하 3백50만원∼최고 8백만원 정도밖에 되지 않아 이 돈으로는 나갈 수 없다고 버텨 주민과 서울시 사이에 실랑이가 계속되고 있다. <임수홍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