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사람] "여성들 고위직 진출 늘어났으면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개인적으로도 영광이지만 공직사회 전체에 여성 고위직 진출의 좋은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기쁩니다."

7월 1일 외교통상부 국제기구정책관에 임명돼 외무고시 출신이 아닌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외교부 국장이 된 강경화(50)씨는 19일 '여성 국장'이 아닌 '일반 국장'으로 봐달라며 이렇게 말했다. 강 신임 정책관은 2003년부터 2년간 유엔본부 여성지위위원회 의장으로 여성지위 향상을 위해 일한 경험도 있다. 강 정책관은 원로 아나운서 고 강창선씨의 딸이다.

다음은 강 정책관과의 일문일답

-1998년 특채된 지 8년 만에 외교부 국장에 임명된 소감과 포부를 밝혀달라.

"현안들이 즐비하고 책임마저 막중한 자리를 맡게 돼 어깨가 무겁다. 우리나라가 유엔에서 국력에 걸맞은 역할을 하고 역량만큼 자리매김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개혁 등 현안이 많은데, 중점적으로 추진할 분야는.

"역시 안보리 개혁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각국의 이익이 첨예하게 교차하는 이 문제와 관련, 우리의 국익을 최대한 반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 같다. "

-외교관 생활을 하면서 세 자녀의 어머니이자 아내 역할을 해 '수퍼 우먼' '맹렬 여성' 등의 평가를 받고 있는데.

"지나친 평가다. 개인적으로 운이 좋았다. 남편이 밖에서 마음껏 일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고 명절 때 못 찾아뵈도 오히려 격려해주신 강원도 속초의 시부모님 덕이 크다."

-유엔 사무국의 고위직 가운데 여성 진출 현황은?

"지난해 말 현재 전문직이 전체의 37.1%인데 이중 여성은 국장급(D1급)이 28.8%, 사무차장급이 17.5%인 반면 일반 행정과 사무직에는 여성이 61.1%를 차지한다. 전문직 여성 비율을 50 대 50으로 올린다는 목표가 매우 더디게 진전되고 있다. "

-올해 외무고시나 국제기구 초급전문가(JPO) 선발시험에서 여성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는데.

"초급 간부직에서 여성의 약진에 대해 같은 여성으로서 기분이 좋다. 다만, 이런 추세가 고위직에서도 병행돼 여성들의 역할이 좀 더 강화된다면 우리 사회의 양적.질적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다고 본다.

[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