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노사 고통 분담 사회적 대타협 운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왼쪽)와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이 30일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각각 국정에 관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했다. [김경빈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30일 “고통분담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 운동을 벌이자”고 제안했다. 대표 취임 후 첫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 나선 그는 “지금이 경제를 다시 세울 수 있는 마지막 골든 타임이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현실 인식에 전적으로 공감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또한 김 대표는 “사회적 대타협 운동을 위해 민관, 노사 등 사회 각 분야가 참여하는 범국민운동기구를 설치하고 정쟁 중단을 선언하자”고 말했다. 여야 대표의 회동을 정례화하자고도 했다.

 김 대표는 “사회적 대타협의 목표는 ‘공존·공영의 나라’ 건설”이라며 “세금을 덜 내고 낮은 복지수준을 수용하는 ‘저부담·저복지’로 갈 것인지, 세금을 더 내고 복지수준을 높이는 ‘고부담·고복지’로 갈 것인지 방향을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무원연금 개혁에 관해선 “지금 개혁하지 않으면 향후 10년간 재정보전 금액이 53조원에 이르게 돼 국민 1인당 부담액이 100만원을 넘는다”며 “정치적인 손해를 보더라도 용기 있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야가 함께 공무원연금 개혁안을 완성시켜 나가자”고 호소했다.

 김 대표는 “공무원의 일방적인 희생만을 강요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공무원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조국 근대화의 주역으로 일해 온 여러분께서 다시 한 번 애국심을 발휘해 연금 개혁에 동참해 주시기를 간절한 마음으로 부탁드린다”고 하는 대목에선 울컥한 듯 목소리가 가라앉았다.

 정치개혁과 관련해 그는 전면적인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개방형 국민경선제) 도입과 이를 위한 정치개혁특위의 구성을 요구했다. 국회선진화법의 개정 필요성도 거론했다.

 경제발전 방향에 대해선 “대한민국의 시대정신은 격차해소”라며 “대기업·중소기업 간 격차 해소를 위해 ‘공존경제 민주화’ 추진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어 “서비스산업은 창조경제의 핵심이자 미래세대의 먹거리인 만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을 조속히 처리하자”고 말했다. “한국의 인구시계는 파멸 5분 전을 가리키고 있다. 초저출산 문제를 국가의 제일 어젠다로 설정하고 국회에 특위를 설치해 논의하자”는 주장도 했다.

 개헌에 대해선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대신 정부조직법 개정안 등의 조속 처리를 요구하며 정부 방침에 적극 협조할 뜻을 밝혔다.

글=이가영 기자
사진=김경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