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직 미 국방정보국 정보분석관, "북한, 화학무기 등 대량살상무기 확산 주도"

중앙일보

입력

북한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취임 후 화학 무기 등 대량살상무기(WMD) 판매를 늘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국방정보국(DIA) 선임정보분석관을 지낸 브루스 백톨 안젤로 주립대 교수는 미국내 한반도 문제 전문지인 ‘국제한국학회’ 최근호를 통해서 이같이 밝혔다.

벡톨 교수는 “북한이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에티오피아와 DR콩고, 짐바브웨, 우간다, 이집트 등 아프리카 국가들을 상대로 무기판매를 늘려왔으며 미얀마, 쿠바와도 군사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리아와 관련해선 “북한이 1990년대부터 탄도미사일과 재래식 무기 등을 시리아에 수출해왔다”며 “정부군과 반군의 내전이 본격화된 2012년 초부터 2년간에 걸쳐 시리아에 대한 북한의 화학무기 판매가 증가했고 현지에 파견된 군사고문관들의 숫자가 늘어났다”고 말했다. 김정은이 정권을 잡은 후 화학무기 판매가 증가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벡톨 교수는 “북한은 화학무기와 관련해서 부품 판매는 물론이고, 시설을 건설하고 군사고문관들을 파견해 필요한 기술과 훈련을 지원을 하는 등 ‘애프터 서비스’를 제공했다”며 “북한은 민간인들에게 사용된 시리아의 화학무기 프로그램 개발에서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시리아 정권은 수도인 다마스쿠스 외곽에서 반군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사용했고, 이 여파로 민간인 등 1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척 헤이글 미 국방장관은 지난해 “북한이 엄청난 양의 화학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며 핵무기 외에 북한의 생화학무기의 확산위협에 대해 경고했었다. 당시 미 국방부 측은 “북한과 시리아가 화학무기 관련 정보에 대해 논의하거나 공유하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올해 4월 발표된 유엔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의 보고서도 북한이 우간다,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이란 등과 불법 무기를 거래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봤다. 최근 북한은 팔레스타인 지역의 이슬람 무장정파인 하마스의 땅굴 건설을 지원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정원엽 기자 wannab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