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보건연구원, 새로운 HIV 증식 조절인자 발견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HIV 바이러스 증식을 조절하는 유전인자를 발견함으로서 새로운 에이즈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발표 했다.

윤철희 박사와 공동연구진은 Tat 단백질과 직접 결합하여 HIV 바이러스 증식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세포내 단백질 NUCKS1을 발견하고, 이에 의한 Tat 기능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Tat 단백질은 HIV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을 촉진하는 전사 활성화 단백질이다.

세포내 NUCKS1은 HIV 바이러스 LTR 프로모터 부위에 Tat 단백질을 축적시킴으로서 전사 활성 및 바이러스 복제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프로모터는 전사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사인자가 결합하는 부위다.

특히 HIV 바이러스가 잠복해 있는 세포에서 NUCKS1 발현이 현저히 감소된 현상을 발견했는데 이는 바이러스 증식 억제를 통해 세포내에서 오래도록 잠복하기 위한 전략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윤철희 박사는 본 연구결과는 “에이즈 바이러스의 전사과정을 이해하고 에이즈를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표적물질의 작용 기전을 밝혀낸 것”이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역전사 효소 억제제나 단백분해효소 억제제와는 전혀 다른 개념의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바이러스학분야 권위 있는 학술지 Retrovirology 최신호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인기기사]

·특정 제약회사 약만 쓰는 요양병원들…리베이트 아냐? [2014/10/15] 
·"의약품 영업대행 CSO는 불법 리베이트 제공 수단" [2014/10/15] 
·잔인한 8월, 의료이용량 2년 전 수준 기록 [2014/10/15] 
·제약협회-KRPIA, 제 1회 제약산업 공동 컨퍼런스 개최 [2014/10/15] 
·길병원-JW중외제약, 공동 연구 활성화 MOU 체결 [2014/10/15]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