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오래된 팥 흔적, 재배된 시기 조사해보니 '세상에'!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사진 문화재청]

한국에서 7000년 전으로 추정되는 선사시대의 가장 오래된 팥 흔적이 나왔다.

14일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강원 양양양군 손양면 오산리 마을 인근 선사유적지에서 출토한 토기를 조사하다 신석기 초기(8000~6500년 전)와 중기(5500~4500년 전)에 재배된 것으로 보이는 팥의 흔적 두 점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는 동북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7000년 전 신석기시대의 팥 흔적이다. 발굴된 토기에 눌린 흔적이 있어 이유를 조사해보니 팥에 눌린 흔적이었다는 설명이다.

팥 흔적은 신석기 조기(8000~6500년전)와 중기(5500~4500년전) 유적 토기에서 각각 1점이 확인됐다. 팥 압흔은 크기가 각각 2.2㎜, 2.8㎜ 정도다.

특히 미국 베타연구소에 토기 표면에 붙은 팥 흔적을 측정한 결과 이는 7314~7189년 전의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금까지 팥 재배의 시작 시기로 알려진 5000년 전(일본 5300년 전)보다 2000년 더 이른 시기에 팥이 재배됐을 가능성을 보여 주는 증거다.

가장 오래된 팥 흔적이 발견됐다는 소식에 네티즌들은 “가장 오래된 팥 흔적, 그렇게 오래 전에도 지금 먹는 팥이 있었다니 신기해” “눈으로 봐선 가장 오래된 팥 흔적인지 정말 모르겠는데… 연구진 대단하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중앙일보

가장 오래된 팥 흔적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