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임나일본부설 부정 등 의견 접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5면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회 한국 측 총간사를 맡았던 조광(사진) 고려대 교수는 31일 "지난 3년간의 성과를 발판 삼아 앞으로 구성될 2기 역사공동위는 합의 내용이 양국 교과서에도 실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교수는 이날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유럽에서는 공동의 역사교과서가 나오는 데 30년이 걸렸지만 우리는 이제 겨우 3년이 지났다"며 "양국 학자들의 노력에 따라 그 기간이 훨씬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국 간 차이점 외에 의견이 근접했던 사안은 어떤 게 있나.

"4세기 역사에 대해서는 일정 정도 성과가 있었다. 일본 측은 광개토대왕비를 근거로 임나일본부설을 강하게 주장했다. 하지만 일본 측 학자들도 오늘날 정상적인 일본사 연구자들이라면 임나일본부설을 통설로 인정하지는 않는다는 데 동의했다. 다만 당시 한반도 남쪽에서 왜구들이 활동했다는 점은 인정할 수 있지 않느냐고 했다."

-역사 인식에서 가장 첨예하게 대립했던 부분은.

"식민지 지배의 부당성 문제였다. 일본 측은 식민지 지배를 하나의 역사적 사실로 인정하자고 주장했다. 또 식민지 지배를 통해 경제개발도 시켜 줬고, 때문에 한국이 해방 후 빈곤 탈출도 가능했다는 뉘앙스를 강하게 풍겼다. 경부선 철도를 예로 들기도 했다. 하지만 경부선도 일본인의 이익을 위해 건설됐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19개 연구 주제에 민감한 현안들은 빠져 있는데.

"당초 우리는 가급적 많은 주제를 다루자는 입장이었지만 일본 측은 정반대였다. 일본 측은 민감한 사안은 뒤로 미루자고 계속 요구했다. 6개월간 실랑이 끝에 결국 독도와 정신대(종군위안부) 문제 등은 일단 연구 주제에서 제외하게 됐다."

-정부가 교과서 문제와 관련한 여론의 비난을 회피하기 위해 역사공동위를 만들었다는 지적도 있다.

"정치.외교 문제와 역사 문제는 분명 다르다. 역사 문제는 학자들에게 맡길 수밖에 없다. 역사 문제를 국가가 재단해 버리면 진정한 합의가 이뤄질 수 없다. 양국 전문가들이 인내심을 가지고 자주 만나면서 문제점을 좁혀가는 게 최선이다."

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