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담도개발㈜ 소송 준비 파장] 감사원 이제는 '끝내기' 고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행담도 개발사업에 대한) 의혹이 잔뜩 불거져 있는데 어떻게 마무리를 해야 할지 고민이다."

감사원의 고위 관계자는 27일 도로공사에 대한 감사를 하며 겪고 있는 고충을 이렇게 털어놨다.

그의 말대로 감사원의 가장 큰 고민은 행담도 개발사업에 대한 감사를 어떻게 별 탈 없이 마무리하느냐다.

감사원은 당초 지난해 초 도로공사와 EKI 간에 맺은 불평등 계약과 올해 2월 채권 발행 과정의 문제 등을 지적하고, 문정인 전 동북아시대위원장과 정찬용 전 청와대 인사수석의 개입 사실을 밝힌 뒤 검찰에 수사를 요청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감사원의 발표에 앞서 언론을 통해 청와대 인사들의 개입 사실이 드러났다. 그 과정에서 행담도 개발과 관련된 의혹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전윤철 감사원장도 이러한 상황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감사원은 6월 9일까지로 감사기간을 연장해 조사의 강도를 높이고 있지만 각종 의혹을 제대로 풀 수 있을지 미지수다. 감사원 관계자는 "검찰처럼 압수수색이나 계좌추적 권한이 없는 상황에서 제대로 진실을 밝히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했다.

S프로젝트에 대한 감사도 골칫거리다. 문 전 위원장과 정 전 수석이 "S프로젝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행담도 개발을 도왔다"고 해명했기 때문에 S프로젝트도 조사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그러나 아직 구체적인 계획조차 수립되지 않은 프로젝트를 놓고 문 전 위원장이나 정 전 수석 등의 행담도 개발사업 타당성을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S프로젝트는 이해찬 총리조차 27일 간부회의에서 "서남해안 개발계획이 S프로젝트냐? 그게 J프로젝트와는 다른 것이냐?"고 물었을 정도로 베일에 싸인 사업이다.

감사원 측은 "유능한 요원들을 동원해 (감사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나 감사를 둘러싼 여건이 그리 만만치 않은 상황임은 분명하다. 이 때문에 자칫 철도청의 유전개발 의혹 감사 때와 마찬가지로 '부실 감사'라는 비난에 직면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감사원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

강갑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