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중흥 위한 개혁방향 모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불구중흥을 위한 각종 방안이 불교계내외에서 활발히 모색되고 있다. 최근 잇달아 열리고있는 문공부주최 『불교중흥세미나』(4∼6일·운악산설악파크호텔), 서울대종교학과의 『불교종단문제세미나』(2일·서울대교수회의실), 이달 말 개최예정인 조계종전국신도회의 『불교개혁심포지엄』등은 한국불교의 새로운 진로와 일대의 개혁방향을 제시한다.
이들 세미나에서 제기된 불교계의 문제점들은 ▲승단의 재판사태 ▲구시대적인 석복불교 ▲개인수도중심의 산간불교 ▲승려의 자질 ▲해이한 승단기강 ▲조섭석개의 종단제도 등.
한상범 교수(동국대)와 박원저씨(변호사)는 『불교중흥세미나』주제발표를 통해 불교중흥을 위한 구체적 개혁내용으로 ▲엄격한 증가고시제도의 확립 ▲적극적인 사회사업전개 ▲대중포교 ▲승단행정제도의 현대화 등을 제시했다.
한교수는 수십억원의 사찰중창불사보다는 사찰주변의 불우한 노인과 고아를 돌보는 일이 불교 근본교리인 대자대비의 실천을 위한 「우선순위」의 불사가 돼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승려교육과정을 혁신, 사회학·심리학 등의 현대학문을 익혀 대승불도의 보살정신으로 복잡한 현대사회의 중생들을 구제할 수 있는 승려자질의 쇄신을 촉구하기도 했다.
박원저씨는 한국불교가 보다 발전적인 진로를 향하기 위해서는 우선 전근대적인 기복신앙과 폐쇄성, 소극적인 청소년포교활동의 벽을 시급히 탈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출세간법에 사는 스님들이 걸핏하면 속세법에 재판을 제기하는 승단의 작태도 냉철한 자성과 함께 근절돼야한다는 것.
그는 종단제도의 개혁방안으로 ▲종회의 신도참여 ▲종단재정의 중앙집권화 ▲승려복지대책 ▲자치능력의 함양 ▲시중 강당·노변집회의 포교 ▲강력한 신도조직의 구성 등을 제시했다.
어쨌든 종단구성의 핵심인 승단이 스스로의 개혁을 주도할 자치능력을 발휘하지 못한 채 밖으로부터의 질타와 자극을 받고있는 불교현실이긴 하지만 1천6백년의 고유한 한국불교 전통이 더이상 얼룩지지 않아야 될 것이다. <이은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