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춤추는 정계개편 시나리오 따라 제3 정당 논의만 무성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393호 03면

“민집모(민주당 집권을 준비하는 모임)와 6인회(새누리당 김성식·정태근·홍정욱 전 의원과 민주당 김부겸·김영춘·정장선 전 의원)가 제3정당을 구상 중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이 비대위원장 탈당 파동으로 격랑 속에 빠져들 때 정치권에 나돌았던 이야기다. 민집모는 온건·중도 성향의 새정치연합 의원 20여 명이 속한 모임으로 상당수가 세월호특별법 장외투쟁을 반대했다. 6인회는 김부겸 전 의원 등이 최근 “야당이 이대로는 안 된다. 범야권의 재구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다시 관심을 받았다.

민집모 소속 김영환(4선) 의원은 17일 이 같은 설을 강하게 부인했다.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 민집모와 6인회는 만난 적도 없고 전화통화 한 적도 없다. 민집모 자체가 신당을 창당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민집모 회원 전체는 그런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야권에선 다양한 정계 개편 시나리오가 떠돈다. 중도층 기반 제3정당론이 중심이다.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가 중앙SUNDAY 인터뷰에서 “박 위원장이 분당해 딴살림을 차린다면 그 당의 진정성과 철학을 따져 보고 (합류를) 생각해 볼 수도 있겠다”고 말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본지 2014년 9월 14, 15일자 3면>

진보진영 싱크탱크 사회디자인연구소는 16일 ‘한국형 대안정당의 미래는 있는가’라는 포럼을 열었다. 여기선 “새누리당은 영남과 기득권층을 대표하는 보수정당으로 제도화에 성공했지만 민주당(새정치연합)은 진보정당, 중산층과 서민의 정당으로 제도화에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지금까지 민주당은 집권을 위한 정당 통합을 진행해왔지만 이제는 정당의 존립 자체가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렀다. 2.5당 체제인 정당체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 검토해 봐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발제를 맡은 김두수 이사는 김두관 전 경남지사의 동생이자 전 혁신과통합(2011년 야권통합추진기구) 홍보위원장 출신이다.

지지율 3% 안팎의 정의당 일각에선 “거대 양당의 독과점 체제에서 벗어난 ‘파일럿(실험)’ 정당을 만들자”고도 한다. 노회찬 전 대표는 여야 구분 없이 의원 20명으로 한시적 원내교섭단체를 만들어 정치 개혁을 추진하자고 주장한다.

장외에선 새정치연합의 옛 이름인 ‘민주당’을 당명으로 하는 정당이 21일 창당한다. 강신성 창당준비위원장은 오랜 민주당 당원 출신이다. 3월 새정치연합 합당으로 민주당 해산신고서가 중앙선관위에 접수되자 바로 다음 날 결성 신고서를 냈다고 한다. 김민석 전 민주당 의원도 창당 자문위원으로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실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수준의 대안정당이 출범할 가능성은 현재로선 낮다는 평이 우세하다. 국민의 상당한 지지를 받는 안철수 전 대표도 제3정당을 추진하다 실패했다. 다만 앞으로도 관련 논의는 계속될 전망이다. 새정치연합의 내홍은 일단 수면 아래로 내려갔지만 또다시 계파 간 충돌 과정에서 일부 세력이 이탈할 가능성이 있다. 인구 구성상 5060세대가 많아지고 국민의 중도 또는 보수 성향이 강화되면서 야권이 재구성되지 않으면 2016년 총선과 2017년 대선에서 필패(必敗)한다는 문제의식도 야권에 팽배하다.

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