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서 민원서류가 ″척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주민등록 등·초본, 토지대장, 자동차, 양곡관리등 대민업무의 전산저리가실험되고있어 멀지않아 민원행정의 신속·정확뿐아니라 각종서류를 떼기위해 지방여행등을 하지 않아도 될것같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는 78년 7월부터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충북일원과 대전시에 대한 토지·주민등록등 국민과 직결된 분야의 전산학 작업을 시작, 금년초 일부지역의 정리를 마쳤다.
전산화가 끝난 충북음성군의 경우 토지대장·취학통지서·자동차검사일통보가 자동발급되어 지금까지 일일이 공무원이 써야하던 일의 50%를 「컴퓨터」가 처리하고 있다.
「컴퓨터」행정의 잇점을 예로보면 종전에는 주민이 토지대장을 뗄 경우 소유지·소유자·주소등을 신청서에 기입, 제출하면 관계공무원이 대장을 일일이 찾아 복사해 주던것이「컴퓨터」단말장치의 단추만 누르면 찍혀나오게, 돼있어 종전에 25분씩 걸리던 일을 35초안에 끝내게된다.
또 취학통지서 발급도「컴퓨터」에 명령만하면 주소·배정학교·소집일·입학식등이 인쇄돼 나온다.
이밖에 단말장치가 군·면까지 이어져있어 음성에서 청주의 토지대장도 뗄수있지만 발급자가 제한되어있는 법적인 문제때문에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충북도의 경우 이문제가 해결되면 연간 22억5천만원정도의 교통비·숙박비등 국민비용을 줄일수 있을것으로 추정하고있다.
그러나 이작업을 주도하고있는 안문석박사(34)는 막대한 경비가 드는만큼 단말장치의 국산화가 뒤따라야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