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 "재난 컨트롤타워는 청와대 아닌 안행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 침몰사고 국정조사 특위에 출석해 재난 지휘 컨트롤타워 논란과 관련해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 의하면 재난의 최종 지휘본부는 청와대가 아닌 안전행정부 장관”이라고 말했다. [김형수 기자]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10일 세월호 국정조사 증언대에 섰다. 용퇴를 요구하는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과 설전도 벌였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 출석한 김 실장은 “청와대 상황실은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고 확인해 대통령께 보고하는 역할을 하고, 구조나 이런 것을 지휘한 일이 없다”고 말해 “청와대는 재난 컨트롤타워가 아니다”라는 김장수 전 청와대 안보실장과 같은 입장을 보였다.

 “청와대에 대통령이 있기 때문에 그런(컨트롤타워) 말이 나오겠지만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상 재난의 최종 지휘본부는 안전행정부 장관”이라고도 했다.

 이에 야당 의원들은 “세월호 참사는 궁극적으로 청와대의 책임”이라며 김 실장을 몰아붙였다. 김현 의원은 “재난과 위기관리의 측면에서 (김 실장이) 대통령을 제대로 보좌했느냐”며 사퇴를 요구했다.

 김 실장은 “ 그만두는 시간까지 성심껏 일하겠다”며 자진사퇴 의사가 없음을 재차 밝혔다. 그러면서 “저는 성실하게 국정조사에 응하러 나왔지 책임을 피하거나 회피하고 변명하려고 온 게 아니다”며 “대통령께서 정치적·도의적 책임을 통감하고 사과를 했다는 점에서 저희들도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세월호 참사의 원인은 첫 번째는 선장과 선원들이 먼저 대피하고 승객들을 대피시키지 아니한 점, 둘째는 탐욕에 젖은 기업들이 배를 잘못 고친 점, 그 다음이 국가 공무원들의 태만”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언급하지 않았다.

 책임을 회피하는 듯한 답변에 대해 야당 의원들이 “이번 참사는 한마디로 침몰 이후 단 한 명의 탑승자도 구하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하자 “최선을 다했지만 만족스럽게 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제대로 일을 못했다고 생각한다”고 일부 책임을 인정했다.

 청와대의 초기 대응이 미흡했다는 점도 부분적으로 시인했다.

 세월호가 침몰하던 당일 첫 대책회의는 오후 4시10분 김 실장 주재로 열렸다. 사고가 발생한 지 7시간18분이 지난 뒤였다. 회의 직후인 오후 5시10분 박 대통령은 안전행정부를 방문해 구조상황을 점검 했다. 당시 박 대통령은 “학생들이 구명조끼를 입었는데 왜 떠오르지 않느냐”고 묻자 이경옥 안행부 2차관은 “객실에 갇혀 있어 구명조끼가 의미가 없다”고 답하기도 했다. 야당 의원들은 “박 대통령이 안행부에 갈 때까지 승객 전원이 갇혀 있다는 사실조차 몰랐다. 보고가 제대로 되지 않은 점에 대해 책임을 지라”고 주장했다.

 김 실장은 그러나 “이 사건은 매우 특수하고 이례적”이라며 “그렇게 큰 배가 그렇게 빨리 뒤집어질 수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일본에서 세월호(6800t)보다 큰 7800t 규모의 선박이 침몰하는 데 5시간이 걸렸던 사례를 들었다. 세월호는 1시간 반 만에 침몰하면서 승객을 구조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 짧았다는 뜻이다.

  사고 당일 NSC 실무조정회의가 열리고 있었다는 점도 확인됐다. 세월호와는 별건의 회의였다. 국정원은 세월호 침몰 사실을 언론 보도를 통해 뒤늦게 인지했다. 또 회의에 참석 중이던 한기범 국정원 제1차장을 비롯해 외교·국방·통일부, 청와대 주요 책임자에게 보고하지 않았다. 한 차장은 회의 중 관련 문자 메시지를 받았지만 이를 확인하지 않았다. 야당은 실무조정회의에 침몰 소식이 전달됐다면 대응이 더 빨랐을 거라고 주장했다.

글=강태화 기자
사진=김형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