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산업사회화속의 민족문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민족문화 창달의 기본이 되는 제2차 문예진흥 5개년 계휙이 금년부터 착수되어 오는 83년까지 추진된다. 78년까지의 제1차 5개년 계획은 문예중흥의 기반 구축을 위한 기초조사와 그 토대 위에서 민족문학의 체계를 정립하고. 창작활동을 중점지원하며 대중문학를 정화하는데 역점을 두었었다.
그 내용을 보면 총 규모 4백39억원 가운데 57.4%에 해당하는 2백52원이 문화재보수에 투입되었고 회관과 단체운영에 13%, 예술활동지원 13.3%, 영화 8.4%, 국학개발과 전통예능 6.4%, 출판1.4%등이었다.
이에 대해 제2차 5개년 계획은 김성진 문공장관의 말대로 『문화전통의 저수지조성』을 지향하는 것이라 한다. 그 동안 제1차 계획을 추진해온 경험과 성과를 참작, 이제부터는 기존시설과 기능올 보강함으로써 문학의 뿌리가 확고하게 내리도록 정신문화의 「댐」을 축조하려는 작업을 벌인다는 것이다.
그래서 앞으로 5년간 1천5백61억 원을 투입하게 되며, 문화시설의 확장에 7백30억 원, 전통문화의 진홍에 6백84억 원, 예술진흥에 72억 원, 대중문화창달에 24억 원, 국제 문화교류에 50억 원을 각각 배정하고 있다.
제1차에 비하여 제2차 계획의 두드러진 면은 박물관·미술관 같은 문화보존을 경한 사회교육 시설의 확장에 충 규모중의 46.8%라는 막중한 비중을 두고있는 점이다. 그 다음이 문화재 보수를 비롯해 국학과 전통예능 부문이 43.8%를 차지하며 국제문화교류도 비록 3.3%이나 신설항목으로 주목할만한 것이다.
이같이 시설과 기능의 강화면에 역점을 두고 있음은 바로 국역배양의 정신적 지주를 바로 잡으려는데 의도가 있다고 풀이되며, 이점 가장 원천적인 과제에의 접근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우리가 당면한 고도의 산업사회 속에서 민족문화의 바탕이 되는 시설이나 기능의 활성화 문제는 자칫 소홀하기 쉬운게 사실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이 산업사회화에의 진전속도가 빠를 때는 정신문화와의 「갭」 이 커져서 사회균형이 흐트러지며 뒤늦게 그것을 되찾으려 허겁지겁 서두르다가는 더욱 큰 문제에 부닥치게 될 수도 있다.
우리는 지난 5년간 제1차 계획을 추진하면서, 매양 정부의 모든 사업이 그렇듯이, 비록 일부나마 전시효과에 집착하여 졸속에 흐르거나 사업의 완급을 가리지 않는다는 등 비평이 없지 않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 문화재보수에 있어서 고증의 미흡과 기술진의 부족 때문에 논란을 거듭한 사례도 없지 않았다.
사실 문화시설의 보수나 확장문제에 있어 가장 큰 장애는 요원의 확보문제라 할 수 있다. 시설물자체는 재력으로 감당한다고 하더라도 그 시설을 기능적으로 운영할 두뇌는 너무도 부족한 현실이다. 이런 분야에서 일하는 요원일수록 일반 기능직과 달리 단시일에 양성되는 게 아니며, 현재 가지고 있는 인력조차도 산업화 사회에서 의 소외감 때문에 유지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가령 박물관을 서울과 각 지방에 신실 혹은 확장한다고 하지만, 적재적소의 인력수급이 얼마만큼 가능할지 의문인 것이다.
제2차 문예진흥계획의 예산은 제1차의 3배가 넘는 것이므로 결코 적은 것이 아니다. 제l차 계획이 정신문화의 「댐」을 축조하기 위한 기초작업의 기간이었다고 한다면 이제는 착실히 다져 올리는 시공의 단계이므로 적은 낭비나 시행착오도 없도록 거듭 당부하는 바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