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민속자료 집대성의 길잡이로…|민속 심포지엄의 결산 장주근<경기대교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19일 한국문화인류학대회에서는 이 학회가 지난 11년간 베푼 전국민속종합조사사업을 회고하고 전망하는「심포지엄」이 있었다. 이 토의에는 임동권 박사 사회 아래 임석재 이사현 이보형 김홍직 한상복 장주근 여중철 제씨가 참가했는데 다음은「심포지엄」내용을 장주근 교수(전문화인류학회장·경기대)가 간추려 정리한 것이다. <편집자주>
전국 민속종합조사는 68년 전남으로부터 시작해 78년 서울지역으로 일단락 되었다. 이에는 매년 학회원 15, 16명씩 연2백 여명이 참여했고 현재 경기편까지 9권의 보고서가 나왔으므로 내년이면 총10권 7천여「페이지」의 방대한 책자로 묶여지게 된다. 이는 해방 후 최대 장기간의 기획조사 사업이었다.
조사방법은 각 도별로 베풀어졌는데 5월에 문공부에서 자금을 받으면 조사단을 구성하여 예비조사로 산촌·해(어)촌·평야(농)촌·반촌·민촌·동족부락 등을 해당 도내에서 지역과 성격을 망라한 5∼6개 표본 조사촌 선정으로 시작됐다.
그간 10년은 한국이 공업화 도시화로 치닫는 한편 민속은 구조적인 급변소멸을 하고, 행정이 이것을 더욱 촉진했던 기간이었다. 우리가 생각했던 이 사업의 첫 목적은 민속지적 자료의 작성이었다. 그것은 앞으로 영원할 민주사회의「민」의 역사자료이며 옛 군주사회에선 그토록 찾아보기 어렵던 민중실록이다.
그래서 이 기록 보존은 앞으로 우리 전통생활 문화를 각 학문이 연구해줄 기본적인 산자료이며 앞으로의 계승·창조의 바탕이기도 하다.
이제 겨우 우리 민속의 분포와 지역적 성격 및 유형 등이 파악된 것 같으나 여기에는 조사단 자체의 반성의 소리가 많았다.
첫째는 그 일관성의 결여다. 방언은 조사됐다 안됐다 했고, 민속공예는 산업기술 편에서 민속 예술편으로 바뀌었다. 농경은 기구중심조사에서 농경법·농가경제면으로 바뀌었다. 또 음악·무용은 조사자가 무용가였다, 국문학자였다, 음악학자였다가 했다.
둘째는 경중안배의 결여다. 인원·보고서의 분량 등에서 구비전승은 너무 적다고 했다. 조사자에 따라서 조사 대상의 범주해석이 다르기도 했다. 그간의 급변, 소멸의 상황도 잘 검토되지 못했다고 했다.
「심포지엄」에서는 회고만이 아니라 앞으로의 요청이 논의됐다. 이 도별 산자료들은 분야별로 보완 조사해서 간행돼야지 현황으로는 일제총독부의 조사보다 체계가 미흡하고 활용이 불편하다는 점이 우선 지적됐다.
또 민속연구는 분포가 중요하므로 월남한 노인층이 생존해 있을 때 이북5도에 대한 조사를 곧 시행해야 할 일들이 논의됐다.
위에서 지적된 혼란은 각기 자기 직무에 쫓기는 학회원들로서는 차라리 당연할지 모르고 이 정도 복잡한 일을 감당하기에도 학회란 사실 오합체일 수밖에 없다. 예컨대 민속박물관 같은 단일연구기관이 과반수는 못될지라도 적어도 주체가 돼 주도했어야 한다. 이러한 현 실정은 그걸 인원과 능력을 갖춘 어떤 힘이 아쉬울 따름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