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소비「무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최근의 폭발적인 소비「무드」를 보면 우리경제의 좌표가 과연 어디인가 하는 당혹감을 갖게 한다. 금년에 겨우 1천「달러」소득수준을 넘는 나라라고는 도저히 생각되지 않을 정도로 소비가 앞서 있다.
과연 이런 고소비를 즐길 수 있을 만큼 전체적인 소득향상이 이루어 졌느냐 엔 의문이 있지만 소비「무드」가 급격히 고조되고 있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
이런 고소비「무드」의 전시효과는 사회구석구석까지 침투되고 있다. 각종 내구재·식음료·「레저」·관광시설 등이 모자라 아우성이다.
몰론 소득의 증가에 따라 소비수준이 높아지는 것은 자연적인 추세이며, 특히 국민소득이 1천「달러」를 넘을 땐 내구 소비재의 수요가 폭발하는 것이 통례다.
일본도 1천「달러」소득을 달성한 60연대 후반기에 자동차·전기제품 등의 소비가 급격히 증가했다.
그러나 전기제품·식음료의 소비가 1년에 70∼1백%씩 느는 최근의 소비「무드」조차도 소득증가에 따른 정상적인 수요승가로 보아야 할 것인가.
일본은 65∼69년의 호황 주목이라 할 수 있는 자동차·세탁기·냉장고·소제기 등의 소비가 크게 늘었다 해도 생산증가율은 연평균 20∼40%선이었다.
일본의 소비증가가 정상적인 가계수지나 저축「무드」를 크게 저해함이 없었다는 것은 60년대 후반기에 일본의 소비율이 65%선에 불과하며, 국내 저축률이 34∼37%나 되었다는 데서 증명된다.
일본은 60연대 후에 소비가 늘었다 해도 대개 소득증가 범위안에서 합리적인 계산아래 이루어진 것이며, 이러한 일본의 높은 저축율이 오늘날 일본의 고도성장과 국제경쟁력의 밑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의 우리의 소비「무드」는 비정상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논리적인 계산에서가 아니라 전시효과와 환물 투기에 자극된 것이 많다.
폭발적인 소비「무드」를 소득증가 때문으로 설명할 수가 없는 것이다. 물론 개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소비를 높일 이유가 있고 또 이에 상응한 물량공급 증대가 바람직하겠으나 국민경제면에서 볼 때 우리가 벌써 고소비를 구가해도 좋을 정도가 되었느냐에 대해 깊은 반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한국은 GNP의 7%에 달하는 국방비부담을 안고 있고 또 기 차관의 원리금을 상환하면서 중화학을 이룩하지 앉으면 안 된다.
그런데도 아직도 GNP에 차지하는 소비지출의 비중이 75%선에 달하고, 국내 저축율이 25%선에 머무르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미 우리는 우리의 분수보다도 훨씬 넘게 소비하고 있는데 이것이 진정 되기는 커녕 오히려 더욱 더 기승을 부리는 추세인 것이다.
인적·물적 자원 면에서 보더라도 우리가 계속 고성장·고소비를 지탱할 수 있느냐도 의문이다.
벌써 인력·토지·공해 등에서 근원적인 성장 제약 요인이 현재화하고 있다. 윤리적 차원에서도 한쪽의 현시적 소비가 다른 쪽의 상대적 빈곤감·위화감을 부채질하고 있다.
만약 현 소비「무드」가 계속 된다면 성장실속을 가져오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렇게 소비「무드」가 고조 된 데는 고성장· 고소비를 정책기조로 하여 모든 정책·제도·은고 기준이 소실 유발적 이었던데 크게 기인된 것이다.
정부안에서부터 현재의 소비「무드」를 진정시키는 꾸준한 정책과 정부자신의 솔선수범을 추구하는 바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