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 형식 개인 통신집|김동욱 박사 창간호 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문학자 김동욱 박사 (연세대 교수·사진)가 최근 개인 잡지 형식의 「통신」 첫호를 냈다. 자신의 한글 「타이프」 솜씨로 「프린트」하여 『나손 서실 통신』이라 표제 했는데 나손이란 경주 김씨 후예라는 뜻의 김 박사 아호.
『서로 분주해서 의견과 정보를 나눌 겨를이 없고 일일이 편지 내기도 번거로워 공통된 통신으로 꾸몄다』는 것이 창간의 변.
1∼2개월에 한번씩 내리라고 하는데 『뜻 있는 친구가 있어 간수해 주시고 심심풀이나마 뜻 있는 일이 되었으면 망외의 기쁨이 되겠습니다…. 「타이프」로 치니 한글 전용이 되었습니다만 저는 한글 전용론자는 아닙니다.』
제1호의 내용은 『임란 이전의 갑옷』 『MBC 「타국」의 의상 고증』 『울산 처용암 탐방기』 『여행자 문학의 가능성』 『국학자 열전 ①-조윤제 선생』 『전국 가비 건립 동호회 회원 모집』 『기증 받은 도서』 『해를 보내면서』 『근간 광고』가 그 전부. 사육 배판 크기의 종이 6장을 철한 것이니까 서재의 짤막한 소식들. 하지만 의상 문제에는 최신 자료에 손수 그림까지 그리는 등 구체적인 설명을 곁들여 한층 이채롭다.
총 경비는 3백부를 찍어 우송하기까지 1만2천원. 「제록스」 집에서 「오프세트」 인쇄비가 1만원을 차지했다. 그리고 10원짜리 우표를 붙여 2백부 우송했다. 이 창간 「통신」에는 세밑의 연하장 구실까지 함께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