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공기관 노임단가 1월부터 55% 인상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내년부터 정부 및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각종 공사의 노임 단가를 현재수준보다 55%정도 인상해 줄 것을 검토하고 있다.
기획원·재무·건설부 등 관계부처간에 협의중인 이 임금인상계획안에 따르면 현재 시중의 실제 노임과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정부 노임을 시중 노임에 가깝도록 대폭 현실화한다는 것이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16일 『현재의 정부 노임 단가 중에는 새마을 취로사업의 일당보다 낮게 책정된 직종이 있다』고 지적하고 『직종에 따라 30%에서 최고 85%까지 현실화하여 평균 55%선에 인상이 되도록 협의가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 소식통은 『정부 노임이 지나치게 쌀 경우 공사의 부실화 또는 정부공사의 유찰사태를 초래할 우려가 많다』면서 『연내로 단가인상을 결정하며 내년 1월 1일부터 실시할 방침』 이라고 말했다.
작년의 경우 51개 직종의 평균임금은 2천 1백 72원이었으나 인상작업을 통해 2천 7백 54원으로 조정되어 26.8%의 인상을 단행한바 있는데 금년의 경우 업계에서는 74%의 인상을 요구하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정부 노임과 시중 노임과의 격차는 보온공이 정부 노임 2천 6백 30원에 비해 시중 노임은 3천 9백 70원으로 50%의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이 가장 차이가 적은 편이고 제재공의 경우 정부 노임은 1천 7백 60원인데 비해 시중노임은 4천 3백원으로 무려 1백 44%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