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시|대담 조병무 이승훈 <정리=김준식 기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이=이 달에 발표된 작품 가운데서 김종길·박재삼·김영태·김재원·조병철·이수복·강우식·이건청· 박의상 씨의 시들이 두드러지게 눈에 띄었어요.
조=김종길씨의 『수화기를 놓고 나니』(문학사상)는 「이미지」의 처리가 퍽 인상적이었어요. 역시 공간성의 초월이라고 할까요. 「이미지」의 회화성이 특히 두드러진 작품이었습니다.
이=박재삼 씨의 『첫사랑 그 사람은』(현대시학)『바람을 기다리지 말고』(시문학)에서는 표현의 완벽성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사랑」이 성숙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그 치밀하고 농도 짙은 표현은 이 시인 특유의 매력이지요. 언어가 이토록 아름답게 변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게 바로 시의 기능이 아닌가 해요.
조=오랜만에 박목월씨가 『근작시초』 3편(심상)을 발표했습니다. 생명에 대한 감수성과 삶의 압박감을 노래하고 있더군요.
이=그의 세계인식이 한결 자연스럽게 전개된 작품들이지요. 있음과 없음의 경계, 혹은 현실과 이상의 세계가 융화되고 있음을 깨닫게 하고 있어요. 초월의 공간을 통해서 일회성 자체가 영원성이란 것을 강조한 것이지요. 조병화 씨의『혜화동 로타리』(시문학) 도 이와 비슷한 분위기를 띠고 있더군요.
조=김영태씨의 『한잔 혹은 두잔』(월간중앙)은 개인적인 공간을 노래하지만 <이쁘다 이뻐 너는 인마 이쁘다 이쁘지 받으세요>에서 보인 것처럼 해학이 바닥에 짙게 깔리고 보니 개인적인 체험의 영역을 벗어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이=김재원 씨의 신작 5편(현대시학)은 도시인이 일상적으로 느끼는 고독·애석 등이 매우 밀도 짙게 표현돼 있어요.
조=특히 『노을만큼은』『가을국전』등에서는 전혀 이질적인 사물을 노래하면서도 생활인의 비애·집념·허무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지 않습니까.
그러면서도 『무병』『아내의 모국어』등에서는 뜨거운 애정이 넘쳐 결국 이간의 고독·비애·허무 등은 모두 애정으로써만이 치유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이=조병철 씨의 『나목의 노래』(현대문학)는 현실의 고뇌를 극복하려는 인간적인 의지를 느끼게 하고 있어요. 대상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려는 시점도 귀하게 평가 돼야겠지요.
조=이수복 씨의『메아리』(현대문학)는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에요. 아름다운 언어로 채색된 동양화, 쉽게 읽히면서도 아름다운 언어가 주는 미적 「이미지」는 크게 공감을 주고 있어요.
강우식 씨의 『에델바이스』(문학사상)도 언어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작품이었어요.
이=이건청 씨의 『해가 진 곳에』(문학사상)는 묘사의 대상이 공간입니다. <영하의 지상>이나 <해가 진> 등의 짧은 표현이 더욱 공간을 어둡게 하고 있지요. <황망히 나르는 멧새>의「이미지」에 와서야 가까스로 생에의 아련한 의지를 환기시키고 있는 데 이 작품은 김재원 씨의 작품에서 느낄 수 있는 생활인의 비애, 애정과 서로 통하는 감을 주고 있지요.
박의상 씨는 최근 시집 『봄을 위하여』를 내놓았는데 합리주의가 빚어내는 모순을 우화적 형식으로 노래하고 있더군요.
조=박씨의 산문시 『흥부의 처』나 장시 『대 심문』은 환상도 상징도 배제하고 현실을 하나의 이야기로 응축하고 있는 데 그 재능이 대단해요. 현실주의 시편들이 대체로「매너리즘」에 빠져 있는 요즈음 박씨의 현실인식은 무엇보다 과격하지 않으면서 과격할 수 있다는 신선 감을 주고 있어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