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년 진해서 굳힌 구상|하계휴양지서 밝힌 내용 중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박정희 대통령의「임시행정수도건설구장」은 오래 전부터 다듬어져 2년 전에 이미 비공개로 밝혀진 적이 있다.
75년 8월 2일 낮 진해하계휴양지에서 청와대 기자들과 점심을 함께 하며 새 수도건설을 처음 밝혔다.
『이런 말을 절대로 밖에 옮기면 안 된다』고 못을 박은 박대통령은 서울서 2시간정도 걸리는 곳이 좋겠다』고 말했다.
이때 밝힌 박대통령의「진해구상」을 그대로 옮기면 다음과 같다.
『수도권인구분산정책의 획기적인 방안은 수도를 옮기는 것밖에 없다.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서울을 옮긴다 해도 문제는 복잡하다.
수도를 지금 옮긴다고 하면 전쟁을 피해 겁을 먹고 도망간다고 생각하지 않겠는가. 행정수도는 외국의 경우도 많다. 「브라질」의「브라질리아」, 미국의「워싱턴」과「뉴요크」와의 관계, 「오스트레일리아」의「시드니」와 「캔버라」, 서독의「본」등이다.
서울을 옮긴다면 인구 1백만 명 규모의 새 행정도시를 건설하는 것이 좋겠다. 그렇게 되면 1백만 명 내지 50만 명의 서울인구를 데려갈 수 있을 것이다. 서울은 곧 7백만 명이 넘을 것이다. 새 수도를 기존도시로 하느냐는 데는 문제가 있다. 새로 건설해야 된다. 서울서 자동차로 2시간 정도 걸리는 곳이 좋겠다. 문제는 여의도에 새로 세운 국회의사당인데 수도를 옮긴다 해도 국회는 그대로 두겠다.
국회가 열리면 장관들이 비행기나 자동차를 타고 와서 출석할 수가 있고 정기국회 등 장기회기엔 근처에 국무위원 숙소를 두면 된다. 새 수도를 건설한다면 땅값이 먼저 뛰기 때문에 예산을 한꺼번에 마련하여 땅부터 확보할 생각이다.
국회에서 예산을 통과시키면 한 목으로 땅값을 지불하고 토지에 대한 수용 령을 내려 구입하면 된다. 그렇게 하면 2∼3년 안에 새 도시를 건설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얘기가 새 나가면 큰 혼란이 생길 것이다.
정부가 충분히 검토해서 결정을 내려 집행할 단계에 가면 공개적으로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공청회를 여는 등 국민들의 의사를 집약할 생각이다. 앞으로 3∼4년 안에 정세가 안정되면 수도건설계획을 구체화시키겠다.
수도를 옮기더라도 완전 행정도시로 하여 관공서만 옮기겠다. 전부 옮기는 것이 아니다. 정치·경제·문화 등은 서울에 두고 행정만 옮기는 것이다. 대전시는 우리나라 중심부이긴 하나 이미 기성도시로 팽창돼 있다.
북괴가 호시탐탐 남침을 노리는 상황에서 7백만이라는 방대한 인구를 가진 수도가 휴전선에서 불과 25「마일」의 거리에 있다는 것은 큰 문제다. 북한의 평양은 휴·전선에서 자동차로 3시간 걸리는 거리에 있다.』
76년 8월 4일 박대통령은 진해 기자회견 때에도 수도권인구 분산 문제에 언급, 『정부는 현재 수도권의 인구를 분산시키는 계획을 진행시키고 있으며 인구분산정책은 현재 그 기본방향이 잡혀 있다』면서『실현 가능성 있는 것부터 먼저 실시하고 나머지는 중장기 안목에서 꾸준히 단계적으로 인구분산 책을 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대통령은『수도권 인구정책은 확정되는 대로 국민에게 발표하겠다』고 말했었다.

<양태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