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1인당 3억5000만원 배상보험, 단원고는 학생당 1억 여행자보험 들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진도 해상에서 침몰한 세월호는 113억원 규모의 선박보험을 2개 회사에 나눠 가입했다. 메리츠화재가 77억원, 한국해운조합이 36억원이다. 가입기간은 지난해 10월 4일부터 오는 10월 4일까지다.

이 중 메리츠화재는 가입금액의 60%를 재보험사인 코리안리에 출재(보험사가 보유한 보험계약을 재보험사에 보험 가입)했다. 선박보험은 선박 피해만 보상하는 것으로 자동차보험으로 치면 자차보험과 같다. 세월호는 또 한국해운조합의 4개 공제상품(선주배상·선박·선원·여객공제)에 가입돼 있어 인명피해 등 배상책임에 대해 1인당 3억5000만원, 사고당 최대 3억 달러 한도로 보장받을 수 있다.

 세월호는 종합 보험격인 P&I(선주상호보험)도 가입했다. 한국해운조합에 규모는 1000만 달러다. 이 보험은 주로 오염사고 방제나 선원 치료비 등으로 쓰인다.

 사고를 당한 경기도 안산 단원고 학생들은 동부화재의 단체여행자보험에 가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보험은 상해·사망(1억원), 상해치료비(500만원), 휴대품 파손·분실(20만원), 통원치료비(15만원), 처방조치(10만원) 등을 보상한다. 반면 배 안에 선적돼 있던 차량 등 화물은 개인적으로 가입한 자동차 보험을 통해 보상금을 받을 수 있다.

 선원들은 한국해운조합(5억9000만원)에 가입한 선원공제를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선원법에 따라 부상당하면 3개월까지 임금 100%, 4개월부터는 70%의 임금을 지급한다.

최모란·이서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