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정확한 측정치조차 없는「공해대책」|보건협 세미나서 신응배 박사 발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현대과학문명은 산업의 기계화·자동화·대형화로 경제의 고도 성장을 추구한 반면 환경을 파괴하여 지구를 병자로 만들고 있다. 최근 들어 자주 열리는「환경」에 관한 각종 「세미나」도 이 병자를 구출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우호증진」및 부와 무공해를 공존시키려는 인간의 노력일 것이다. 18일 대한보건협회와 서울대 보건대학원이 주최하는 보건학「세미나」도 그 하나. 다음은 이날 발표되는 신응배 박사(과학기술연구소 환경계획연구실장) 의『질준 오염관리의 문제점』을 간추린 것이다.

<산업폐수>
고농도의 유기물을 함유한 산업폐수의 대부분이 미처리 상태로 하천이나 바다로 방기되는 실정이며 극소수의 공장이 폐수처리장을 갖고 있으나 처리장의 유지관리·처리효율이 극히 의심스러운 형편이다. 또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보고하도록 되어있으나 측정기술의 미비, 측정치의 조작 등 문제점이 많으며 보고 치의 검토 잘못으로 허위보고에 대한 처벌이 없는 실정이다.

<도시분뇨>
하수도 보급율이 낮은 우리나라는 분뇨 수거도 처리를 동시에 염려해야 하는데 서울의 경우 1일 수거대상 3천㎘에 비해 위생처리장의 처리능력은 1일 1천㎘에 불과하며 분뇨처리비용으로 소비되는 돈만도 1일 6백 만원이나 되지만 미처리 분뇨와 가정하수·공장 폐수로 한강의 오염도는 날로 높아가고 있다.

<대기오염>
많은 자료가 발표되고 있으나 실제로 측정된 자료는 얼마 안되며 이 또한 자료의 신뢰성이 문제된다.
측정에는 각종 기상조건·특정농도 지속시간·농도분포에 따른 확률개념 등이 중요하며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장기간 또는 한 공정주기를 세심한 계획 아래 측정해야 한다.
공해대책의 장기계획수립을 위해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게 측정된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과학적인 측정망이 국가적 사업으로 설치돼야한다.

<공해의 관리>
현행 공해방지법의 미비점은 신속히 보완돼야 한다.
오염「개스」배출 허용 기준에서도 평균화 시간의 개념이 도입돼야 하고 배출시설검사의 구체적 내용이 불분명하며 공해방지 관리인으로 하여금 공해방지 업무일지 등 기록부를 비치, 측정·기록·보존케 하고 있으나 어디에서 무엇을 얼마나 자주 측정 기록해야 한다는 규정이 없으므로 배출허용 기준의 초과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또 기준의 제정시에 산업에 부과될 경제적 부담 등의 고려가 결여되어 있어 법으로 규정한 기준에 맞추기가 어려운 실정이며 그렇게 강요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연차적으로 서서히 설치하도록 법의 관용성도 필요한데 정부의 저이자 장기융자 등도 한 방법이라 하겠다.

<주기적 측정>
주기적으로 측정된 자료는 보다 나은 공해관리계획 수립 뿐만 아니라 공해분쟁의 해결방안모색 등 이용가치가 많으며 특정 공해방지시설의 운영 면의 문젯점 발견 및 보수의 길잡이가 되므로 공해방지 관리인으로 하여금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지방행정기관에 보고토록 하고 허위보고 등 자료의 조작행위는 엄벌에 처함으로써 환경보전에 대한 산업인의 비양심적인 행위를 다스려야 할 것이다.
또 국가적 차원에서 측정망을 설정하여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음으로써 기근 공동주위의 공해관리사업은 물론 신설 공단의 환경보전수립을 과학적으로 이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오염도의 측정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장기적이고도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한다.(사진은 서울시가를 뒤덮은「스모그」현상)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