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적 의무감 형성에 도움 안 되는 국민학교 사회과 수업-정세구 교수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민학생들은 6학년 사회과 수업을 통해 최초로 정치사회에 대한 체계적 교육을 받는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국민학교 과정의 정치·사회 교육 중 중요 내용은 『우리나라 헌법』『국민의 권리와 의무』『우리나라의 정치제도』 등.
이 같은 내용을 국민학생에게 교육하는 주요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시민으로서의 의무감을 높이고 ▲정치제도에 대한 신뢰와 호응의 극대화 ▲능동적인 정치 참여를 유도하는데 있다. 그러나 최근 정세구 교수(교육학·한국교육개발원)의 조사에 의하면 정치제도에 대한 신뢰감은 국민학생들 간에 상당히 높은 반면 시민 의무감·능동적인 정치 참여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판명돼 사회교육에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정 교수는 경기도내 1개 국민학교의 6학년(4백31명)학생을 대상으로 한 시민 의무감 조사에서 사회과 교육을 받은 학생 중 85%가 시민 의무의 중요성에 긍정적인 응답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받지 않은 학급에서도 84%의 높은 응답율을 보임으로써 사회과 교육이 시민 의무감 향상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냈다고 지적했다.
정치 참여의 중요성에 관한 조사에서도 사회과 교육을 받은 학급(56%)이나 받지 않은 학급(54%)사이에는 2%의 차이밖에 나지 않아 건전한 시민 육성에 사회과 교육이 별다른 영향을 주고 있지 못한 것으로 평가했다.
한편 현재의 정치제도와 관련, 정치 신뢰에 있어서는 사회과 수업을 받은 학급이 84%의 높은 신뢰도를 보인 반면 받지 않은 학급은 80%에도 못 미쳐 현재의 사회과 교육이 학생들의 정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 같은 결론에 대해 정 교수는 시민 의무감의 향상과 능동적인 정치 참여의 유도를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주입식·설명식 교육보다 실험·경험을 중심으로 하는 탐구 수업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