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직 정무위원수로 이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6일 정무회의에서 김영삼 총재가 증원할 수 있는 정무위원과 중앙상무위원 자리에 재야인사를 영입할 뜻을 밝히자 신민당 주류·비주류간에는 「재야인사」의 정의와 범위 등을 놓고 논전.
이철승 국회부의장과 고흥문 송원영 채문식의원 등은 『재야세력이란 특정 개인이 아닌 집단적 조직임을 명심하라』고 못박았는데 김 총재는 『상식 선을 넘지 않겠다』고 응수.
이택돈 의원 같은 이는 「재야」를 정의하면서 『당과 당의 통합 즉 통일당과의 통합이 재야 영입의 제1순위이고 다음이 여당권에서 탈퇴한 전 정당인·정치인, 그 다음이 종교인·학자』라고 주장.
총재가 임명할 수 있는 공무위원 수를 놓고도 주류 측은 지난 74년 10월 지도위 해석을 들어 『신민당이 집권할 때까지 국회정부의장 3석과 재야 「케이스」2석 등 5석』이라고 주장하는데 비해 비주류 측선 『총재가 임명할 수 있는 것은 19석 이라고 당헌에 못 박혀 있다』면서 『중앙상위의장의 자동「케이스」로 옮아간 이민우 의원 자리 1석과 재야 2석으로 3석 뿐』이라고 맞서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