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언론 대화 절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정책 평가교수단은 14일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제3차 년도 평가보고서를 발표,『학원사태·일부 언론인·종교인들의 개헌주장은 현실주의적인 규범과 이상주의적 규범과의 충돌로서 이러한 충돌이 국민총화에 이완을 가져왔던 것은 불행한 사태』라고 지적하고 국민총화의 달성을 위해 ①실질적 반공교육의 강화 ②분배의 공정화와 균등화를 위한 정책의 강화 ③정부·국민간 대화의 길 마련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평가교수단은『오늘날 국가권력의 강화는 필연적인 추세이나 그 강한 국가권력이 국민적 신뢰와 유리되면 능률을 발휘하기가 어렵다』고 말하고『삼권분립제도를 유지하면서 삼권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정치적 운용으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언론문제에 언급. 정부와 언론과의 시국관 차 해소를 위해 쌍방대화를 위한 간담회를 자주 갖도록 건의하고 언론기관의 경영합리화를 위해 외부 인쇄를 허용해 주도록 요청했다.
보고서는『정부투자기관 사원이 평균 6만8천 원 선인데 비해 평 기자는 2만3천 원내지 11만1천 원으로 저임금 상태에 있어 언론인 보수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학원질서의 쇄신은 교육외적 문제가 고등교육의 정상화를 저해하고 교수와 학생간의 대화를 어렵게 했다』면서『문교당국과 학교당국의 공동노력으로 계속 선도 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