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사보다 행동 따라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는 24일 본회의를 열고 김종필 국무총리로부터 「8·15저격사건」 뒤처리와 관련된 한·일 교섭결과를 보고 들었다.
김 총리는 보고에서 『한·일 교섭관계가 일단 수습된 것을 시발점으로 새로운 차원에서의 한·일 우호관계가 아시아의 평화 및 자유진영의 안전보장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신의에 입각하여 상응하는 협조를 전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한·일 양국관계가 다나까 일본수상의 친서와 시이나 특사의 구두진사로 해결된 것』은 아니라고 말하고 『일본정부가 한국의 국가안보에 깊은 이해를 가지고 성실히 약속을 이행함으로써 행동으로 증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교섭 과정에서 기무라 일본외상의 발언 등이 문제가 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진상과 진의를 알아보고 있다』고 말하고 『이 점에 대해서는 앞으로 국회의 대 정부 불문과정을 통해 성실히 알리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김 총리보고요지.
『고 육영수 여사의 국민장에 다나까 일본 수상이 직접 참석하여 조의를 표시한데 대해 정부는 이를 평가하면서도 그 이후의 무성의에 격분했고 사건 처리에 미흡함이 없도록 촉구했었다.
일본측은 특사를 파견하여 친서를 전달함으로써 진사와 성의 있는 조치를 취할 뜻을 표시했다.
정부는 사건 발생 직후 일본 안의 공범자 수사에 협력할 것을 촉구했고 일본이 북괴의 대남 기지로 이용되지 않도록 조총련에 대한 철저한 단속과 이러한 불행한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했다.
국가원수에 대한 친서는 포괄적인 기술이 상례이지만 정부는 문제의 중요성에 비추어 국민이 납득하고 만족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있지 않으면 안 받겠다는 강경한 태도를 표시하여 특사가 오는 날까지 강인한 교섭을 계속했다.
다나까 수상의 친서는 이미 보도된 대로 5개항의 주요 사항을 열거했으나 친서만으로는 미흡하여 시이나 특사가 대통령을 방문할 때 구체적인 설명을 문서로 기록토록 요구, 시이나 특사로부터 조총련 등의 반한단체 구성원들의 테러 행위를 방지토록 노력한다는 등 3개항의 약속을 받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