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세계를 휩쓰는 「인플레」|공산국가도 예외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세계를 휩쓸고 있는 「인플레」-.
공산권만은 예외라는 이야기가 있다. 과연 맞는 이야기일지?
공산주의자들은 그들의 통제경제 밑에서는 「인플레」라는 현상이 있을 수 없다고 선전하고 있으나 선전과는 다른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가격·임금·수요를 엄격히 통제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인플레」압력이 공산「블록」에서 가중되고 있다. 그래서 생산지도자들은 「인플레」가 서방자본주의에만 만연되는 병이라는 이론에 회의를 품기 시작했다.
『숨은 「인플레」』가 고개를 들기 시작, 일부 식료품이나 소비재가 상당히 부족한 상태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암시장이 성행하고 임금인상 압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인플레」가 앞으로 「소비에트·블록」안 경제·사회안정에 주요한 위협이 될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
소련이나 동구 지도자들도 식량이나 기타 주요 생산품의 가격앙등은 일반적인 경제불안을 야기시킬 것이라고 인정하고 있다. 「흐루시초프」가 1960년대 초반에 주요 식료품의 가격인상을 발표했을 때 소련은 경제적 시련을 겪었고 「폴란드」에서 1970년 식료품 가격을 인상하자 노동자「데모」가 일어나 「고물카」정권을 무너뜨리기까지 했다.
이런 경험으로 공산국가 지도자들은 주요 소비재가격 인상을 피하려는 안간힘을 쓰고 엄격한 가격 통제책과 농·공업에 대해서는 국고 보조로 안정을 추구해 왔다.
동구의 공식적인 도매물가지수는 「헝가리」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1970년이래 불변, 동구에서 지난 4년 동안 물가는 평균 10% 올랐다. 서방에서 가장 「인플레」율이 낮았던 미국과 서독의 25%와는 비교가 안 된다.
그 이면을 보자. 「유럽」의 어느 일급경제 전문가는 이런 현상을 다음과 같이 보고 있다. 『공산국가들은 「인플레」와 투쟁하는데 막중한 대가를 지불하고 있다. 물가안정이라는 것은 고육지책이어서 끝없는 정부보조 때문에 재정부담이 늘어나 투자재원을 삭감할 정도』라는 것이다.
또 어떤 학자는 공산국가에서는 「인플레」 가 서방국가에서 물가고와 임금상승으로 나타나는 것과는 달리 어느 특정상품의 태부족과 다른 상품의 과잉생산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공산국가에서는 「인플레」에 대한 주무기가 정부보조이기 때문에 동구제국의 국고고갈 사태는 점점 심화되고 있다.
예로 동독은 1973년 주요 소비재 생산을 유지하기 위한 국고보조액이 국민총수입의 약 8%인 1백7억「마르크」에 달했다.
「헝가리」「폴란드」「체코」도 예외는 아니었다. 공산권의 「인플레」에서 특히 우려되는 것은 임금과 기타 수입이 정책 담당자들이 예상하는 것 보다 더욱 급속도로 상승된다는 점이다. 「폴란드」에서 작년도에 평균 월부금이 계획 6.6%보다 높은 11% 올랐다. 「헝가리」에서도 금년 들어 실질임금이 9% 인상돼 당초계획 4%를 훨씬 넘어섰다.
자연히 공산권에서 노동자들은 현금을 가지고 있으면서 돈을 쓸 기회가 적어 불안해하고 있다.
현재까지 공산주의 국가들은 「인플레」를 서방에 비해 잘 다스려 왔다.
그러나 앞으로는 세계적 「인플레」와 폭발적인 노동자 수입을 어떻게 규제하느냐 하는 2대 위협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유에스·뉴스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