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한나라 한쪽은 큰 타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노무현 대통령은 새 검찰팀의 첫번째 과제로 지난 대선 때 한나라당이 제기했던 국정원 불법 도청 의혹사건을 지시했다.

취임 후 첫번째 수사 주문이다. 개혁적 국정원장 인선과 국정원 개혁방안을 거의 마무리했고, 극심한 진통 끝에 검찰팀이 재정비된 직후다. 때문에 盧대통령이 김대중(金大中.DJ) 정권이 남겨둔 짐과 부담을 말끔히 벗어던질 다목적 포석으로 이 사건을 선택한 게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盧대통령은 이날 "국가기관의 신뢰에 심각한 타격을 준 문제"라며 관련 책임자를 처벌하라고 했다.

盧대통령은 대선 직전에는 "현 DJ 정부 아래서 저질러진 비리는 엄정하게 처리할 것"이라며 "국가기관의 신뢰를 바로세우거나 또는 구태정치를 청산해야 한다는 점에서 당선되면 도청 문제는 철저히 수사하겠다"고 공약했었다.

즉 국정원이 도청을 했다면 국가기관의 신뢰를 떨어뜨린 것이고, 한나라당이 조작된 폭로를 했다면 '구태정치'로 역시 청산 대상이라는 논리다.

문희상(文喜相)비서실장은 17일 "모든 권력기관의 신뢰를 세우고 서로 긴장관계를 유지하는 게 盧대통령의 통치철학 "이라고 했다.

국내정치 사찰을 없애는 등 국정원의 전면적 기능 개편을 앞둔 盧대통령으로서는 만일 도청 사실이 드러날 경우 국정원 개혁 드라이브의 훌륭한 명분을 얻게 된다. 한나라당의 조작이라면 야당의 도덕성에는 적잖은 타격이 올 수 있다. 향후 대여(對與) 폭로공세를 차단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검찰은 이번 수사를 통해 정치권의 입김에서 자유로운 '독립검찰'의 전기를 맞을 수도 있다. 공적자금 수사.SK수사 등과 달리 도청 수사는 경제에 큰 부담이 없다는 점도 盧대통령의 선택을 수월하게 했다는 전언이다.

그러나 수사 과정이 정국에 미칠 파장은 결코 간단치 않을 전망이다. 불법 도청 의혹을 폭로한 김영일(金榮馹) 사무총장 등 한나라당 당직자들이 대거 소환될 경우 야당 측의 거센 반발이 있을 수 있다.

盧대통령은 "국민이 납득하는 수준의 예의를 갖춰 한나라당 의원들도 조사해야 한다"고 적시했다. 이 같은 발언이 특정 정파를 겨냥했다는 인상을 줄 경우 한나라당은 초반부터 대립각을 세울 수 있다.

이런 형평성을 의식한 듯 盧대통령은 1999년 6월과 8월께 측근인 A씨.Y씨에게 각각 2억원과 5천만원이 건네졌다는 의혹이 제기됐던 '나라종금 퇴출저지' 로비사건도 정치적 고려없이 수사하라고 지시했다. 한편 송경희(宋敬熙)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나라종금 관련 부분을 뺐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