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물가 편승 인상 막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금년 들어 정부가 연쇄적인 가격 현대화 조치를 취한데 대해 경제계는 생산 증가 및 물가수급의 원활화를 위해서 불가피한 조처라고 환영하고 있으나 각종 물가의 편승 인상과 국제 경쟁력이 떨어질 것을 우려했다.
금년 들어 정부가 ▲각종 가격을 일시에 대폭 현실화 한 것은 이제까지 가격 기능을 무시하고 행정 규제에 의해 물가를 직접통제 해 온 물가 정책의 파탄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심리적인 편승 인상 붐까지 유도하여 인플레를 더욱 가속시킬 것으로 보인다. 국내 물가의 전반적인 상승은 수출 경쟁력을 약화시켜 환율 현실화론을 다시 제기시킬 우려까지 있다.
석유를 비롯한 각종 수입 원자재 값이 각종 가격의 동시적인 대폭 인상을 불가피 하게 했으나 기업이 원가 상승 요인을 제품 가격에 그대로 반가 시키고, 또 유통 과정에서의 가격 조작 요인까지 겹쳐 일반 가계에 심각한 타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가격 인상을 계기로 물가 체제의 전반적인 재편이 불가피할 것인데 그 과정에서 수입품 및 사치품의 소비 억제를 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도되어야 할 것이다. 경제 3단계의 코멘트는 다음과 같다.
▲무협=이번 유가 값을 비롯한 공공요금 및 일부 가격의 현실화는 원유 가격의 인상으로 부득이한 것으로 보나 이로 인하여 편승적인 물가 상승으로 번지지 않기를 바란다.
특히 수출 산업은 이번 가격 현실화로 인하여 「코스트·푸쉬」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바 수출 기업은 에너지 가격의 현실화에 따른 「코스트·업」 요인을 경영 합리화로 최대한 흡수하도록 노력할 것이나 정부는 이로 인하여 국제 경쟁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적극 지원해 주기 바란다.
▲상의=이미 발생된 원가 상승 요인과 이번 재조정된 유류 및 전력 가격을 중심으로 가격현실화는 불가피한 일이며 천연 시킬 수도 없을 것으로 본다.
앞으로 물가 안정 정책은 유통 과정에서의 불공정 거래의 규제에 치중해야 할 것이며 왕성한 생산 의욕과 국민의 소비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서도 주요 소비품 이외에는 행정 당국의 개입을 가급적 최소한으로 줄여 새로운 가격 체제가 형성된 연후에는 정부·기업·소비자가 합심, 항구적인 물가 안정 기반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전경련=이번 조치는 지난번 유류 파동을 계기로 한 산유국의 일방적인, 원유가 인상에 따라 만 부득이한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가 자원 부족·국제 인플레를 극복하고 가격 인상 쇼크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온 국민, 즉 정부·기업, 그리고 가계가 일치 단결, 철저한 소비 절약을 하는 길 밖에 없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전략을 통해 새로운 가격 선에서 속히 균형과 안정 선을 찾아야 할 것이며 이 선에서 계속적인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정부나 기업은 가일층 분발해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