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성만 추구하면 문화쇄국 초래 지성인의 「지적 기술자」화를 경계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보편」과「특수」라는 추상적 개념의 적용문제에 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다. 문화의 영역에서 특히 보편과 복수는 미묘한 갈등을 겪는다. 나라마다 각각의 문화가 보편성과 더불어 특수성을 지니는 데는 이론이 없으면 서 도「특수성강조」의 한계에 관련해서는 논의가 다양하다.
「크리스천·아카데미」가 30일과 12윌1일에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주제로 논의를 벌인 것도 그 일환이었다.
인류의 음현적 문화를 강조하고 여기에 따르다 보면 개인이나 민족의 특수성을 망각하게 되고 주체성조차 상실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는가 하면 이와 반대로 자기나라의 복수성만을 강조할 경우 「새로운 국수주의」에 빠질 뿐 아니라 일부 특수층에게 전체민족이 우롱 당하고 이용당하는 경우도 생긴다.
이러한 문학의 보편성과 복수성의 미묘한 관계에 관해 이 모임의 논의 또한 심각한 것이었다.
신일철교수(고현대)는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문제는 양자 택일적으로 해결 될 수 없다』고 했다. 문학의 보편성만 강조하고 그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을 때 민족문화의 전통과의 단절을 망상하게 되고 주체성의 위기나 사회해체를 결과하게 되며,반면 문학의 특수성만을 추구하면 문학쇄국을 결과하게 돼 문학수용을 통한 창조는 어렵게 된다.
신교수는 보편문학의 수용은 주체적 수용이 과제이며 ①문학는 연대의식상 민족과 인류의 갈등 관계 여선 안되고②외래문학가 범람하는 도시와 그렇지 않은 농촌의 의식구조를 심
화해선 안되며 ③대립 소비성이나 「GNP신앙」 이나 생산위주에 근거한「근대학」론이 지나치게 강조돼선 안되며 ④문학을 수용하는 지성인이 「지적 기술고」 화 하는 것의 경계, 대세 순응적인 직인화, 권력의 시녀화로의 전락을 피하는 것이 중심이 된다고 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어떤 나라에서 정당성이 있다고 하는「복수성 강조」가 왜다른 나라에선 타당성의 의혹을 사게 되는가?
이문영교수 (고려대)는 특수성이 타당성을 갖는 조건으로서 ①국민 각 개인의 권재 신장이 막연한 애국이니 국가 과재이니 민족이니 하는 것 보다는 더 중시될 것 ②정치체제와 국민사이의 정상적인 관계가 유지될 것의 두 가지를 제시했다.
이 조건이 무시되는 경우 즉 집권자가 민족을 자신의 집권에 이용하며,집권자가 국민보다 상위에 놓여 있을 때 문화의 특수성 강조는 불안상성 잃는다는 설명이다.
『문학은 민중이 만들고,민중은 정부와의 판계에 있어서 그 역할을 제약도 받고,자유를 얻기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강권 담당자와 국민과의 관계는 중요하다』고 했다.
이에 관련해 이건호교수(이화여대) 는 특히 법률문화에 국한할 때 문화적 특수성은 위험한 것이 된다고 했다.
역사학파의 인물들이 「민족 정시망을 법에서도 지도이념으로 주장한 것은 이미 옛날 얘기다.그같은 주장은 법학의 백기 상실을 가져올 뿐이기에 이미 그것은 효력을 잃은 지 오랜 주장이다「로스코·마운드」가 지적한대로 『법학은 일종의 사회공학』 이라는 단계에 온
이상 법은 「정선의 보험」이라는 가치목표를 향한 목적지향성울 갖는다는 설명이다.「최대다수의 행복」을 추구하는 보편가치를 지닌 법은 비록 법치경험이 미약한 한국과 같은 나라에서라도 유지될 필요는 있다.
이 교수는 이렇게 전제하고『영·미 법에서 가장 중시하는 은총 받는 조항 이라고 하는 「구속적 행정」 같은 법이 몇 가지 시행상의 과오 때문에 우리 법률 체계에서 탈락된 것은 큰 우려를 낳고 있다』고 했다.
한국과 같이 특수한 문화구조가 지속된 나라에서 보편적 문학의 수용에 많은 잘못이 나타나는 것은 어쩔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보편적인 새로운 문학가 희망에 뿌리 박기 위한 진통은 불가피할 것이다.이진옹 속에서 좌절하지 아니하는 결의가 문화인에게 요청된다』 고 이문영씨는 말하고 있다.
특수성과 보편성이 상호 의유적인 관계에 녹이고,한민족만이 아니고 세계인류가 공동체적인 의식을 갖는 문화가 키워져야 할 것이라는 논의는 이 모임에서도 지배적이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