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학회, 공공의료 취약지 의료공백 메운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대한가정의학회가 공공의료 공백을 메우는 해결사로 나선다. 의료 취약지를 중심으로 공공의료기관에 의료인력을 파견하는 것이다.

가정의학회 조경환 이사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가정의학과 의료진이 공공의료가 취약한 지역의 의료기관에 파견근무하는 방식으로 공공의료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가정의학회는 각 대학병원 가정의학과장들과의 회의를 통해 의료취약지 인력 파견에 대한 합의도 이미 이뤘다. 세브란스병원(신촌·영동), 서울대병원, 고대의료원, 가톨릭의료원, 중앙대병원, 단국대병원, 계명대병원, 경북대병원 등이 참여한다.

공공의료 지원은 컨소시엄에 참여한 각 지역 대학병원 가정의학과 인력이 공공의료기관에 파견돼 의료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단 의료봉사와 같은 개념은 아니다. 파견된 의료진에 대한 수당은 별도로 지급된다.

이를 위해 가정의학회는 복지부와 공공의료 지원을 위한 대학병원 컨소시엄 지원에 대한 협의도 진행했다. 파견된 의료진에 대한 수당을 복지부가 지원해 주고 각 대학병원은 해당 의료진에게 직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조 이사장은 "복지부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이르면 이달 말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컨소시엄은 가정의학회와 복지부간 접점이 맞는다는 점에서 도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가정의학회는 지금까지 검진서비스에 국한됐던 공공의료기관의 가정의학과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반면 복지부는 그동안 공공의료기관 운영에 문제가 돼 왔던 의료인력 부족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조 이사장은 "의료 취약지의 경우 의료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지만 의료진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며 "이번 컨소시엄이 도입되면 부족한 의료인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미스테리쇼퍼' 도입한 개원지원 서비스

가정의학회가 올해 역점을 두는 사업은 또 있다. 바로 가정의학과 개원의를 위한 개원지원서비스다. 학회는 개원지원센터를 최근 개설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개원 후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개원의들에게 경영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미스테리쇼퍼'도 도입된다.

환자로 가장해 진료를 받은 뒤 해당 의료기관의 서비스를 분석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회에서는 개원지원 서비스 전담팀(경영평가팀)을 꾸려 경영진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를 위해 경영 전문가인 대기업 출신 인사도 섭외한 상태다.

조 이사장은 "개원의들은 경영 뿐 아니라 법체계, 인사관리도 알아야 하지만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며 "회원들이 신청을 하면 학회 경영평가팀이 경영 문제점을 진단해 자문과 경영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회는 오는 3~4월부터 개원지원서비스를 본격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인기기사]

·‘총파업’ 초강수둔 의료계, 하지만 실현가능성은 ‘글쎄…’ [2014/01/13] 
·가정의학회, 공공의료 취약지 의료공백 메운다 [2014/01/13] 
·투표율 따라 3월 3일부터 '무기한 전면휴진' [2014/01/13] 
·복지부, 의료계에 현명한 선택 촉구 [2014/01/12] 
·불법파업 운운하는 의협, 매우 유감 [2014/01/12] 

류장훈 기자 jh@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