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인으로 남아있고 싶다."|하계학교의 재일 한국학생 대상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일 국교정상화 8년이 지난 오늘, 영주권을 얻은 재일 교포들의 권익 옹호와 조국발전에 공헌해야 할 재일 거류민단은 교민사회에서 소외당하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해외교포 문제연구소(이사장 문인 ?단)가 지난7월31일∼8월19일 서울대에서 있은 재일 한국학생 하계학교 입학생 5백12명(고 3백42명·대 1백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밝혀졌다.
즉 이들은「민단」에 대한 기대는 어떤가? 라는 설문에『재일 교포의 권익옹호에는 소홀하고 파벌싸움만 일삼는다』(18.7%),『기대하는 바 없다』(23.7%)등 42.4%가 불신 내지 무관심을 보였다.
이밖에 몇 가지 설문을 통해 그들의 의식구조를 알아보면-.
▲어디에 영주하기를 희망하느냐=한국이 12.1%, 재일 한국인으로 일본에 74.6%, 일본인으로 귀화해서 3.3%
▲거주지역에 한국계 학교가 설립, 인가된다면=74.1%가 입학하기를 꺼리고 있다. 이들은 『영주권을 가진 이상 한국어는 필요하지 않다』, 또는『남북통일이 되어도 한국인의 생활이 일본보다 풍부해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라는 이유를 들고있다.
한국인이란 자의식에서 그들은 또한 극히 부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국 이름을 사용하고 있느냐? 에 대해『집에서만 사용한다』(14.5%)『전혀 사용하지 않는다』(57.4%) 등으로 답했다.
지난해에 31.2%가『집과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나 금년에는 24%로 줄어든 것이 주목된다. 한국이름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서 이들은 일본사회의 차별대우가 두렵기도 하지만 집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아 습관적으로 그렇게 되기도 했다.
이들은 또 모국어로 자유롭게 대화할 수 있는 사람이 겨우 1.2%이며, 57.5%가 모국어를 전혀 모른다. 심지어 그들은 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지는 자신이 한국인이란 사실을 거의 모르고 있었다.
그것도 부모가 알려준 사람은 73.9%로 26.1%가 부모 아닌 다른 사람을 통해 알았다. 결국 그들은 한국민족으로서의 의식구조를 형성해갈 생활습관·언어, 그리고 전통 등의 환경이 전적으로 결여된 상태에 방치되어있는 셈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