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새 결의안에 거부권 행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이고리 이바노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10일 "미국.영국의 새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하겠다"고 처음으로 밝혔다.

이바노프 장관은 이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추가로 결의안을 채택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며 "결의안이 표결에 부쳐질 경우 거부권을 행사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라크 공격을 승인하는 새 결의안의 안보리 통과 전망은 한층 어두워졌다.

이와 관련, 미.영은 이라크가 오는 17일까지 전쟁을 피하기 위해 취해야 할 무장해제 행위를 구체적으로 명시한 문건을 공개하기로 했다고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10일 보도했다. 이는 칠레 등 중립적인 안보리 이사국들이 "결의안의 문구가 모호하다"며 찬성에 난색을 표한 데 따른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결의안을 제출한 미.영.스페인측 소식통이 10일 "새 결의안은 12일께 표결에 부쳐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힌 가운데 이들 나라와 결의안 반대를 주도하는 프랑스 간의 막바지 외교전도 불꽃을 튀기고 있다.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은 9일 "결의안 채택에 필요한 9~10개 안보리 이사국의 지지를 확보했다"며 "프랑스가 거부권을 행사하면 양국 관계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압박했다.

반면 도미니크 드 빌팽 프랑스 외무장관은 앙골라.카메룬.기니 등 3개 안보리 이사국을 설득하기 위해 아프리카 순방길에 오르면서 "결의안 통과를 결코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엔 안보리 표결 방식=순번에 따라 3월 중 안보리 의장국을 맡은 기니가 주재하는 표결에서 의장국은 먼저 찬성을 물은 뒤 반대를 묻고 마지막으로 기권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15개 이사국의 입장을 차례로 점검한다.

9개국 이상이 찬성하면 결의안은 통과되지만 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 등 5개 상임이사국 중 하나라도 반대하면 자동적으로 거부권이 행사된 것으로 간주돼 결의안은 부결된다.

채병건.정효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