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 기업특혜 제도화 시 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경제계는 8·3조치이후 강조되고있는 기업의 재무구조개선 등을 위한 기업공개가 시급하다고 지적, 이를 위한 공개기업위주의 금융·세제상의 혜택을 제도화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정부에 건의했다.
13일 서울KAL「호텔」에서 열린 전경련·증권 단 주최의『주식공개유도를 위한 정책과제』「심포지엄」에서 지금까지 우리 나라의 기업공개가 부진한 이유는 ⓛ은행금리만큼 배당이 어렵고 ②경영지배권의 동요가 우려되며 ③신주의 매출가능성이 적은 점 ④일부 대기업의 가족중심 적 경영 ⑤세제상 간접금융의 유리 ⑥유가증권수익률의 저 수준 ⑦증권금융의 미비 등으로 지적되었다.
이날「심포지엄」에서는 앞으로의 기업공개촉진방안으로 ▲일정액이상의 대출에는 공개를 필수요건 화하고 ▲창업자이득을 위해「프리미엄」부 공모제실시 ▲기업의 계열화 ▲차관 지보 업체에 대한 주식공개의무의 철 저 이행 ▲증권인수체제의 강화 ▲공개법인에 대한 우대강화 ▲무 의결권주식발행제도확대 등이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또 이 자리에서는 특별감가상각 제도확대와 소액주주의 횡포방지, 증권회사의 대형화 및 충실화와 함께「8·3사채」의 적극적인 주식전환도 촉구되었다.
이날「심포지엄」에서 남덕우 재무장관은『대부분의 기업이 주식공개를 통한 직접 금융으로 자금조달을 기피하고 은행이나 고리사채 또는 외국차관에 의존하여 재무구조가 악화되었다』고 지적, 경영합리화 등을 위한 주식공개와 자본시장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