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IPC국유화의 파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서방의 국제석유회사들은 「이라크」정부의 「이라크」석유회사(IPC) 국유화조치에 대항,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서방회사들은 만족할 만한 보상을 받을 때까지 국유화된 유전채굴권을 되찾기 위해 재산권을 주장, 국제사법재판소에 소송을 제기할지도 모른다.
이러한 절차는 1950년대 초 「이란」의 「앵글로·이라니안」석유회사 접수 시에도 성공적으로 적용된바 있으며 「리비아」가 영국의 석유이권을 국유화했을 때에도 채택되었었다.
이에 곁들여 또 한가지 예상되는 것은 「이라크」내 「프랑스」석유이권에 관해 양국간에 협정을 맺자는 「이라크」측의 제안을 「프랑스」가 거부, 자본주의진영과 보조를 맞추도록 미영이 강력한 압력을 가할 것이라는 점이다.
소식통들은 「이라크」정부가 지난번에 국유화한 「노드·루말리아」유전 때처럼 소련이나 동구국가들을 소비시장으로 삼을지도 모른다고 봤다.
그러나 이들 공산국가가 그만한 양의 원유를 사들일 수 있을까 는 의문시된다.
어쨌든 「이라크」는 최근 들어 「브라질」「실론」등 소위 제3세계국가들에 대한 판매를 늘려왔다. 또한 OPEC(석유수출국기구)나 OAPEC(「아랍」석유수출국기구)의 지지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이들 기구가 「이라크」의 대외판매를 돕기 위해 자체의 원유생산을 줄이는 것도 충분히 생각해 볼만한 일이다.
「이라크」는 이미 「시리아」의 전폭적 지지를 획득했으며 이것은 양국의 「바트」당이 오랜 불화를 겪어왔다는 사실에 비춰볼 때 특히 의미 깊은 일이라 하겠다.
만약 「IPC」이사국이 「이라크」와 「시리아」에 보복조치를 취하게 되면 가장 타격을 받게되는 나라는 「레바논」은 현재 「IPC」로부터 연간 1천만「달러」를 정유 사용료 조로 받고 있으며 지중해 만까지 연결되는 송유관의 마지막 통과 국인 것이다.
따라서 「이라크」의 석유금수조치는 「레바논」으로서는 원유 채굴료의 상실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국내 석유 공급 면에서도 곤란을 야기 시키는 이중손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AFP합동=본사특약】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