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윤병노<문학평론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시의 양산은 이 달에도 예외일수 없다. 그 많은 지면에다 유명·무명의 시인들이 쉽게 헤아릴 수 없는 시를 발표했다. 서로 얼굴이 다르듯 제각기 제나름대로의 발상으로 다양한 시작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그 푸짐한 시 세계에서 독자와 함께 기꺼이 감동할 만한 몇 편의 시를 찾아내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그만큼 최근의 시는 풍작을 기록하면서도 일반독자들에게「어필」하지 못한다는 얘기다. 어떤 시인은 항변할 것이다. 현대시는 숙명적으로 「난해」하고「애 매」한 것이라고, 대중독자를 위해서 쓰는 것이 아니라고 할 것이다.
얼핏 들으면 일리 있는 얘기지만 현대시의 난해성과 애매성의 문제는 상당한 비 해를 받아야 한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시인들이 제멋대로가 아니라 객관화된「난해」와「애매」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턱대고 시어의 무질서한 나열로 소박한 독자를 희롱할 수는 없다. 더할 수 없는 지적 기만으로 타락이 된다.
또 현대시인은 대중독자를 상대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몹시 오만한 얘기다. 그들을 의해서「T·S·엘리어트」의 명언을 상기해 주고 싶다.

<시는 모름지기「정글」속에서 북을 치는 야만인과 함께 비롯되었고, 충격과「리듬」의 본질을 간직한 것이다. 과장한다면 시인은 딴사람들에 비해서 연장자라고나 할>
여기에 더 첨가해서 현대시는 폭넓은 독자들에게보다 위로를 주고 즐거움을 줄 수 있다면 더욱 더 다행한일이 아니겠는가.
이 같은 평범하고도 원칙적인 시론을 상기하면서 이 달의 시단을 타진해 본다.
시는 체험의 소산이고 상상력의 표현이라는 말은 중진들의 시에서 실감하게 된다. 서정주 고두동 신석정 김광섭 이경순 박두진 박남수 등 원로급들이 노익장의 시단을 휘두르고 있는 것은 고마운 일이다.
신석정의『신작 오 편』(현대문학)은 근의 정정한 의지를 순탄하게 표현해 주고 있다. 참으로 담담한 언어로 말이다.

<어찌 우리에게 욕되고 어둔 날이 또다시 찾아오게 할 수 있느냐 무거운 가슴과 착한 마음과 빛나는 눈망울을 가름하여 불태울 있는 찬란한 언어는 우리 언저릴 수호하는 태양!>
(정정한 나무를)
몹시 경건한 자세로 오늘을 반성하고 밝은 내일을 위해서<저 정정한 나무를 배우자>고 호소한다. 여기에 좀 더 열기 있는 저항이 깔려 질 수는 없었을까.
여기에 비해서 박남수의『말I·외』(현대시학)는 끝내 고독한 자화상을 비정하게 실토하고 있다.

<눈이 있어서 보이고 귀가 들리는 이 엄청난 세상을 일축하마 의젓한 눈에 눈물 같은 것 안개 낀 눈을 굴리며 끝내는 고독하여 우는 나는 무오 생의 말.>
숙명적으로 혹독하게 태어난 시인은 말처럼 끝내 의로운 존재로 자의 할 수 있을지 모른다. 『말 II』에서는 더욱 더 비장한 목소리로 변성되고 있다.
현대시의 다양한 특징은 중견급에서 짙게 풍겨 준다. 몹시 원색의 짙은 빛깔로 채색된 시들로서 주목을 끌게된다.
김윤성 신동집 김구용 박화목 고 원 조영서 이준범 김시철 김지향 신경임 등이 자기 나름으로의 발달을 시도하고 있다.
김구용의『의미 없는 의미』(월간중앙)와『어둠을 낳는』(현대시학) 애서 부조리한 현상을 응시하면서 통화를 키도 했다.

<사람마다 눈뜨는 내재가 분단된 망원경에 물음은 답장이 없다.>
우리의 멍든 아픔을 집약한「이미지」가 상징적으로 처리되고 있다.
한편 해외에서 시작을 계속해 오고 있는 고원은『뉴요크 시초』(시문학)에서<오염>을 제재로 향수 어린 서정을 쏟고 있다. 그러면서도 심각한 도시공해에 짓밟히면서 벗어나려는 몸부림이 처절하게 드러난다.

<눈이나 좀 왔으면 좋지 창문마다 비틀기 시체가 떨어지는데 그 속에선 감전된 인조버섯이 시뻘겋게 독을 뿜는데 지하철 두의 진단은 위궤양이라는데 빌랑 멎고 눈이나 올 일이지.>또 조영서의『유년 송』,『신정』(시문학)은 세련된 감각적 언어로 주목을 끈다. <어린 것 들이 햇빛을 몰고 와서 세배를 한다.><어린 눈에서 오전의 햇살이 똑똑 쏟아지기 시작했다.>이 같은 발상법은 그의 독특한 멋이기도 하다.
이 달에도 꽤 많은 신인들이 시단에 참여했다. 그들의 목소리는 아직도 성숙하지 않았지만 생생한 맛을 풍긴다. 천장이 진지하고 발랄한 사상을 간직했다면 조용히 귀를 기울일 일이다.
그들 중에서 김영태 정현종 이일기 홍신선 김대규 배태인 이 탄 강우식 오규원 황하수 조남익 등은 건강한 모습으로 시 작업을 펴갔다.
회화적 수법으로 시룰 쓰는 김형태는 이번에도『두개의 스케치』(월간중앙)에서 아주 소박한「터치로 신혼의 자화상을 그리고 있다.

<살아가는 동안 여러 번 개 칠하였다 한 극으로 끝내지 못하자 거듭 칠만 하였다 결혼하고 나서도 한눈파는 버릇을 못 버리었다 새 봄의 1학년 같은 아내에게는 여간 미안한 일이 아니다.>
여기에 비해서 강우식은 압축된 시어로 꼿꼿한 지향을 다짐한다. 그의『화랑 고』(시문학) 는 몇 개의 역사적 인물을 표제로 해서 화랑정신의 재현을 시도했다. 경 토 색의 언어로 현실과 저항해본 것이다.

<진실로 내가 단 한 칸의 집을 지을 돈이 있으면 수 이남에다 땅을 사고 싶지 않다 하하…하>-물 계 자
한편 이 달에는 유안진 김선영 임성숙 강은교 등 젊은 여류들이 제각기 감각적인 음성으로 고독을 터트리고 있다. 그것은 그저 애틋한 연가로, 씁쓸한 비가로 메아리칠 뿐이다.
어쨌든 이 달의 시 풍토는 새롭게 변모된 느낌이다. 많은 시인들이 각박한 현실과 엄숙히 대하면서 투시하려는 몸짓은 대견한 일이다. 오늘의 긴급한 현실에 맞부딪치면서 고민하는 시인의 숨결은 독자의 가슴을 울려줄 수 있을까.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