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letter] 무서운 이야기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347호 04면

싱가포르 출장길에 뉴욕 타임스의 세계적인 칼럼니스트 토머스 프리드먼이 주최하는 포럼까지 취재하게 됐습니다(중앙일보 10월 28일자 24면). 달변에 능숙한 쇼맨십으로 좌중을 휘어잡더군요.

그는 “빅데이터 시대에 평균(Average)이란 말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며 “우리 모두는 이제 자신이 얼마나 독특한(unique)지, 그래서 왜 고용되어야 하는지 증명해내지 않으면 안 된다”고 일갈했습니다.

그러면서 자기 얘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칼럼을 통해 중국인들에게 그들이 잘 모르는 중국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 내 목표”라면서 “그러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통찰해야 하는지 아느냐”고 되물었습니다.

이 얘기를 들으면서 문득 한 기업에 있는 선배의 말이 떠올랐습니다. 그 기업의 회장님은 회의 때마다 “내가 모르는 얘기를 해 봐”라며 임원들을 다그친다고 합니다. 처음 그 말을 들었을 땐 “뭘 알고 계신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모르는 얘기를 하라고 하실까” 하는 무심한 생각이 들었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곰곰 생각해보니 그 정도로 세상을 넓게 깊게 보는 연습을 평소부터 해놓으라는 지시로 들렸답니다.

사실 “이건 모르셨죠?”라고 말문을 열기 위해서는 그 전에 얼마나 전후 맥락과 좌우 사정을 꿰고 있어야 할까요. 그런 통찰력이 없으면 제대로 살 생각은 하질 말라니, 정말 무서운 얘기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이 스산해져 가는 가을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