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제개혁 논의될 27일 IMF총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달러·쇼크」는 결국 금·「달러」 본위제의 종막을 가져오고 따라서 오는 27일부터 열릴 IMF(국제통화기금) 총회에서는 IMF체제의 근본적 개혁문제가 불가피하게 논의될 예정이다.
특정국 통화에 준비통화로서의 역할을 겸하도록 한 IMF 체제의 결함은 50년대 말 「트리핀」교수가 지적한 유동성 「딜레머」로 이미 널리 인식돼 왔으며 8월 15일의 금·「달러」교환정지로 백일하에 드러났다.
경제학자들에 의해 제안된 국제통화 개혁론이 IMF 당국 및 각국 정책당국에 의해 신중하게 검토되기 시작한 점은 최근에 일어난 중요한 사태변화이다.
서구 및 일본 등 주요국들은 준비통화의 역할을 SDR(특별 인출권)에 맡기자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으며 IMF는 SDR 1단위의 금 가치(순금 0·888671g=1달러)를 인상, 상대적으로 가치가 높아진 SDR로 약 3백 80억불에 달하는 미국의 대외 채무를 처리하려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은 전후 세계 경제 발전을 뒷받침해 온 IMF체제의 근본적 변혁을 전제로 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국제통화 개혁안이 오는 27일부터 시작되는 IMF 연차총회에서 윤곽이 잡힌다해도 각국이 기대하는 것처럼 조기타결 되리라고 보기는 어렵다.
교섭이 장기화하리라는 전망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 IMF체제에서 힘있는 주역이 사라졌다는 사실이다.
「로이·해로트」경이 『미·영이라는 강력한 주역이 있었음에도 「브레튼우즈」체제 탄생까지는 3년간의 긴 교섭이 필요했다』고 말했던 것에 미루어 주역의 부재, 또는 다수의 주역이 난립하고있는 현 상태로는 조속한 해결이 어려우리라는 것이다.
둘째 금·「달러」의 교환성이 정지됐다는 점이다.
15, 16일의 「빅 텐」회의가 「달러」 평가절하를 요구했지만 내심으로는 미국이 다시 금 교환제를 회복하고 세계은행의 역할을 담당할 만큼 절하하리라고는 생각지 않고 있다.
때문에 「달러」가 다소 절하되더라도 교환성이 회복되지 않는 한 통화외교의 승리라고 할 수는 있어도 경제적 의미는 별로 없다.
따라서 「달러·쇼크」이후 각국이 전면 내지 부분적으로 변동환율제로 이행한 것은 통화지구전이 대비한 조치로 풀이 될 수 있다. 【일본경제신문=본사특약】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