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평 과세 준칙 마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국세청은 오는 74년까지 인정과세의 여지를 전반적으로 봉쇄한다는 전제 밑에 공평과세준칙을 마련, 이달부터 시행에 옮겼다. 14일 오정근 국세청장은 추계과세, 정부 조사 결정에 의한 과세 등으로 세무 공무원의 재량권이 개입하는 여지가 큰 것을 바로잡기 위해 종래의 부과조사결정업무를 체계화하여 자동적인 처리 방법을 채택하고 과세의 적정화를 기하기 위해 조사자의 자의적인 재량을 배제하는 등 엄격한 준칙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오 청장은 이 준칙의 내용이 ①불공평 과세가 없도록 업무 실적 분석, 준비 조사, 부과 결정, 확인 등 4단계로 부과 업무를 체계화하고 ②세 부담 분석, 과표의 현실화도 분석 등 각종 기본 자료를 비치 보관 활용하며 ③세무 조사는 간접 조사를 위주로 하는 한편 ④갑근세의 과표 산정 기준을 마련, 근로자의 세 부담을 공평케 하고 부동산 소득 산출은 지역별, 용도별, 구조별 표준 임대 가격 책정으로 공정을 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오 청장은 이 준칙에 해당되는 납세자의 수는 갑근세 1백90만명, 개인영업세 50만9천명 등 모두 3백90여만명이 될 것이며 해당 세목은 직접세 중 ▲개인영업세 및 사업소득세 ▲부동산소득세 ▲재산제세 ▲법인세 ▲거래원천세 ▲갑근세와 간접세 중에는 ▲주세 ▲물품세 ▲입장세 ▲통행세 ▲직물류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