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4·27」은 총선에 어떻게 투영되나-대통령 선거결과와 의원선거의 함수 관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는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 선거의 투표경향과 그 결과가 의원선거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가를 가려내기는 퍽 어렵다. 이는 두 선거의 성격과 특징이 다르고 선거민의 투표심리나 판단의 기준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양당정치 지향이란 투표성향이 짙어지면서 대통령 선거 때 나타난 유권자의 성향은 잇달아 실시되는 국회의원선거에 부분적이지만 얼마간 영향을 미치는 것이 분명하다.
국회의원선거는 대통령선거를 통해 정권의 방향이 결정된 뒤 실시되기 때문에 그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의원선거가 지역단위로 승패가 결정되고 쟁점이나 투표성향 판단의 기준이달라지기 때문에 표의 흐름은 대통령 선거 때 나타났던 그 지역의 표의 흐름과 많이 달라진다.
67년의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선거를 놓고 본 여러 지역들의 표의 흐름이 이것을 실증하고있다.

<야, 도시 이외서 득표 저하>
당시 신민당은 대통령선거에서 표의 「동서현장」 에 따라 호남·충남·기호지방에서 승리했지만, 국회의원 선거에선 서울과 부산·경남 등에서만 대통령 선거 때 보다 득표율을 높였고, 나머지 지역에선 평균 15%씩 표를 잃었다. 따라서 신민당은 서울 (13석)과 부산 (5석) 등 대도시에서 18석을 얻어 28개 지역구 당선 중 과반수를 서울·부산에서 확보한 셈이다. 득표율로만 두 선거의 전반적 추세를 보면, 공화당은 대통령선거의 득표율(51.4%) 보다 국회의원선거의 득표율(50.6%)이 0.8% 떨어졌지만, 의석은 1백 31개 지역구의 과반수를 훨씬 넘은 1백 2석을 차지했고, 신민당은 28석밖에 얻지 못했다. 이들 지역구 수별로 보면 공화당은 대통령선거에서 우세했던 76개 지구에다 국회의원선거에서 26개 지구를 승리구역으로 추가한데 반해, 신민당은 대통령 선거 때 55개 구에서 이겼으나 이 가운데서 국회의원선거에선 27개 지구에서 승세를 뺏겼다.

<여, 67년 때 서부서 큰 만회>
특히 공화당은 대통령선거에서 졌다가 국회의원선거에서 이긴 곳이 39개, 이겼다 진 곳이 9개 구이며 나머지 72개 구는 대통령 선거결과대로 승리한 것이다. 도별로 보면 공화당 대통령선거에서 패했다가 의원선거에서 이긴 곳은 서울1, 경기 9, 강원1, 충북 4, 충남 7, 전북9, 전남 8 등으로 주로 서부지방에서 크게 만회했다. 그러나 신민당은 부산에서 4개, 강원·충남·전남·경남북에서 각각 1구씩 만회했을 뿐이다.
이런 67년 양대 선거의 추세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여당은 대통령선거의 득표율 만큼 전국적으로 골고루 득표하면서 의석 확보율은 대통령선거 득표율보다 20%이상으로 크게 높여 압승한 사실이다.
67년 선거의 이런 양상이 이번 국회의원선거에서도 나타날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이번 대통령 선거결과가 정년 때보다 「로컬리즘」의 심화 등 몇가지 색다른 특징을 드러냈기 때문에 그 양상을 다소 달리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지역단위의 「입지적 여건」아래서는 유권자들의 이해 투표경향이 강하게 작용한다는 특성, 그리고 자금이나 관의 지원 등 집권당이 갖는 고지가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집권당의 우세경향이 나타나지 않을까 하는 전망이다.

<군소당, 전국구 배분 없을 듯>
이번 대통령 선거결과는 신민당이 영남의 부산과 대구에서는 졌지만 서울·인천·광주·대전·전주에서 이겨 우리나라 7대도시의 득표비율로 보면 54.7% 대 44.5%로 이겨 67년의 49.6% 대 42.8%의 비율에 비해 11.9%나 표차의 폭을 넓혔다. 67년 국회의원 선거 때 이 7대 도시에서 전 지역구 의석 28개 중 23개를 확보한 것으로 보아 이번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대도시에서의 야당 측 승률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화당이 대통령선거에서 67년(51.5%)보다 1.7%를 더 득표했지만 신민당은 40.9%에서 45.3%로 4.4%나 득표 폭을 넓혔는데 이것은 군소 정당의 득표가 7.6%에서 1.5%로 크게 준 경향과 함께 의원선거에서 신민당의 득표율이 67년 (32%)보다 10%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전국구는 제3당에 배분될 가능성이 희박하다. 전국구 배분을 받을 수 있는 요건은 유효표의 5%이상을 득표하고 지역구 의석 5개 이상을 확보해야하는데 63년에는 1, 2당 외에 3당과 4당(민주·자민당)이 배분 받았으나 67년에는 3당이 진출하지 못했고 4·27의 투표 성향으로 보아 역시 3당 진출은 불가능할 것 같다.

<견제심리 신민당에 유리>
대통령선거가 국회의원선거에 지역별로 어떤 영향을 주고 구체적으로 무슨 반응을 보일 것인지는 두드러진 지역감정과 관련, 국회의원선거에서 큰 관심거리로 되고있다.
특히 대통령선거에서 공화당이 압승한 경남북과 신민당이 크게 우세한 전남북의 투표성향은 관심거리다.
신민당 간부들은 『영남의 여당 몰표에 자극 받은 유권자의 역심리로 호남에선 야당이 의원선거에서도 승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러나 공화당 조직부는 『대통령선거는 영남세와 호남세의 대결상을 짙게 풍겼지만 의원선거에선 같은 지역 사람들이 대결해 있어 지역감정이 둔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영남의 경우 대통령의 안정 기반 구축이 67년 선거때처럼 공학당의 「이슈」가 되겠지만, 신민당에서는 대통령 선거의 압승「쇼크」로 견제 심리가 싹 틀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런 여야당의 분석을 보면 표의 흐름을 쉽사리 점치기는 어렵지만 역시 호남의 도시에선 역심리가 반대로, 영남의 도시에선 여당에 대한 견제심리가 나타나지 않을까 하고 보는 이들이 많다.

<도시·지방의 선택 기준 달라>
지방의 지역구를 중심으로 한 의원 선거의 현실은 인물-자금-조직-정당의 순으로 유권자들의 선택기준이 잡혀지고있는 실정이다. 대도시의 경우는 지방의 선택기준과 반대로 정당-인물-조직-자금 순으로 잡는 경향이 짙어 야당인사들이 대도시에서 출마를 희망하는 것 같다.
서울·부산 등 대도시를 제외한 경기·충남북 지방은 강원지방과 함께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통적으로 드러나는 여당 우세의 속성을 크게 벗어나지 못할 것 같다.
이들 지방은 67년 국회의원선거에서 대통령선거 때의 득표율보다 가장 큰 차이로 득표율이 떨어졌었다. 신민당이 참패한 경북은 26.4%에서 27.6%로, 경남은 23%에서 31.5%로 국회의원 선거득표가 늘었으나, 강원에선 41.7%에서 26.9%, 충북은 43.6%에서 27.6%, 충남은46.8%에서 27%로, 전북은 48.7%에서 28.4%, 전남은 46.6%에서 28.4%로 각각 줄었다.
따라서 이번 의원선거는 대통령선거에서 나타난 「로컬리즘」에 대한 영·호남지방에서의 역심리의 진폭, 이에 대한 대도시에서의 반응도, 그리고 선거 과정의 공명성 여부 등 몇가지 새로운 요인에 따라 흐름의 방향이 잡히게 될 것 같다. <윤기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