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60%, 동반성장 전담조직 운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주요 대기업 절반 이상이 중소기업, 협력업체들과 상생을 꾀하기 위해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설치하거나 임직원의 인사 평가에 동반성장 추진 실적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대기업은 그러나 사업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정부의 동반성장 정책 추진을 애로사항으로 꼽아 정부와 기업 간 간극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협력센터가 14일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동반성장 추진현황 및 인식 실태’를 조사해 분석한 결과다. 설문에 응답한 261개사 중 60.2%가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운영 중이고 49.4%는 최고경영자(CEO)와 임직원의 인사평가에 동반성장 추진 실적을 반영한다고 답했다. 다만 기업 규모에 따라 동반성장 참여도는 달랐다. 1~100대기업의 90.9%가 동반성장 전담조직을 운영 중인 반면 101~200대 기업은 75.8%, 201~500대 기업은 32.2%에 그쳤다.

 전경련은 또한 대기업 10곳 중 8개사(79.3%)는 표준하도급계약서를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납품대금은 하도급법상 지급기일인 60일의 절반기간인 25일 안에 지급하는 등 협력업체의 편의를 고려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변동으로 협력사가 납품단가 조정을 요구할 때는 요구금액의 평균 60.4%를 반영해 가격을 결정한다고 응답했다. 100대기업은 72.8%, 200대 기업은 68.2%, 500대 기업은 47.4%를 반영했 다.

 다만 정부와 대기업 간의 동반성장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여전했다. 주요 대기업들은 동반성장 추진 시 가장 큰 애로로 ‘기업 현실에 맞지 않는 정책추진’(62.4%)을 가장 많이 꼽았고 ‘협력사에 대한 과도한 자금지원 요구’(19.9%)가 문제라는 대답도 뒤따랐다. 양금승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기업 전반으로 동반성장 문화가 확산돼 야 한다”며 “이를 위해 기업의 다양한 동반성장모델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채윤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