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나간 「연료 전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연탄연로를 유류 (석유) 로 바꾸려는 서울시의 연료 전환 대책이 부진, 12일 현재 겨우 올해 전환 목표의 1.3%밖에 이루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는 유류로의 연료 전환 대책을 해마다 세우고 행정력을 동원, 강력히 추진하고 있으나 70년도 전환목표 1만5천3백5개소 (37만4천4백t)중 겨우 1천1백61개소(4천7백84t) 밖에 전환을 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렇게 유류 전환 정책이 그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첫째 연탄 대 석유 가격의 차가 1대 1.5로 석유 값이 연탄보다 훨씬 비싸고 시설 전환 비가 많이 들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보일러」시설비가 50평 건물의 경우 50만 원 이상이 든다.
또한 난방 장치의 경우 온돌을 뜯어 고쳐야 하며 취사 및 난방겸용 유류 연소기구가 아직 개발되지 못해 연탄보다 가정에서 쓰기가 불편한 점도 부진한 커다란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서울시는 연료 전환기간 동안 석유가격을 정책적으로 인하해줄 것을 상공부에 강력히 건의하고 있으나 상공부에서는 유공과 호남정유에 조치, 요청했다고 만 말할 뿐 석유 값 인하는 안될 것으로 보여 서울시의 유류 전환 대책은 까마득하기만 하다.
서울시는 할 수 없이 연료 전환 대책을 대폭 수정, 올해 월동기간 5개월 (11·12·1·2·3월)에 목욕탕 극장 「바」병과점 요리점 각 관공서 등 전환이 가능한 업종 3백7개소를 선정, 유류로 바꾸게 하고 71년부터는 연차적으로 매년 하절기 (4월∼9월)를 이용, 기존 건물의 유류 전환을 실시하고 신규 건물(45평 이상)은 건축 허가 때 조건부로, 관허 업소는 신규·명의 및 구조 변경할 때 유류 전환을 조건부로 허가한다는 것 등을 새로운 방침으로 정했다.
이와 같은 방안을 강력히 추진하기 위해 시는 ①전환 대상 업체로부터 동의 서를 받고 가능한 한 자진 전환토록 하고 ②기일 내에 전환되지 않을 경우 연탄 공급중지 등 행정통제하며 ③전환 책임을 담당 부서별로 나누어 담당 부서는 각 대상 업소를 상대로 권장하는 방안을 아울러 마련했다.
서울시는 목욕탕 1백1개소, 극장 23개소, 여관27개소, 병과제조업 40개소에 대한 유류 전환 시설, 전환비 일부 융자를 비롯, 난방기구 생산업자들에게 자금을 융자해주며 「보일러」 ·「버너」등 시설자재를 싼값으로 보급하고 월부 알선하는 한편「버너」·「보일러」등 기구를 면세 도입, 보급시키는 등 지원정책을 강력히 펴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