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수능 필수 확정 … 사회영역서 분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정부가 역사 교육 강화 방안의 하나로 한국사의 수능 필수과목화를 시안으로 확정했다. 지난 7월 박근혜 대통령이 “한국사는 수능에 들어가면 딱인데”라고 발언하면서 사실상 결정된 내용이었다.

 교육부는 현재 중 3 대상의 2017학년도 수능부터 한국사를 사회 영역에서 빼서 모든 수험생이 필수로 응시하게 할 방침이다. 2017학년도 수능이 현행 문·이과 분리안, 융합안 그리고 둘 사이의 절충안 셋 중 무엇으로 결정되든지 간에 한국사는 필수과목이 된다.

 현재 한국사는 고교 교육과정에서 필수 교과로 지정돼 있어 모든 고교생이 의무적으로 배우고는 있다. 그런 만큼 이번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화 방침에 따라 현행 고교 교육과정을 바꿀 필요는 없다.

 수능 필수과목화에 대해 일각에선 “한국사가 암기 과목으로 전락하고 관련 사교육이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해 왔다. 교육부 박백범 대학지원실장은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내면서도 한국사에 대한 수험 부담은 최소화하겠다”면서 “내년 상반기에 한국사의 수능 출제 경향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한국사의 수능 필수과목화에 이어 대학들이 수능 한국사 성적을 대입 전형에 반영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이번에 발표한 대입 개편안에 대학들이 협조하는 정도를 평가해 대학에 대한 재정 지원과 연계하기로 했다. 가칭 ‘공교육 정상화 기여 대학 지원사업’으로 교육부는 ▶입학전형 간소화 ▶학생부 반영 비중 ▶한국사 반영 여부 등을 주요 평가지표로 예시했다. 대학들이 모집단위에 따라 수능 한국사 점수를 학생 선발에서 반영하도록 유도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성시윤 기자

관련기사
▶ 50년 만에 문·이과 통합 추진…외고생, 의대 더 많이 가겠네
▶ 또 1년 못 버틴 대입정책…학생·학부모 "정부 믿은 게 죄"
▶ 수시는 9월 한 차례만… 2017학년도까지 어떻게 바뀌나
▶ 대학들 논술 의존 늘 듯…정부, 교과에 논술 과목 신설 방침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