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미국 "전두환 영구집권 막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미국 정부가 1980년 4월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에 대해 “영구 집권을 획책하려고 하니 (미국 정부가) 경계하고 바로잡아야 한다”고 판단했음을 보여주는 외교 문서가 공개됐다.

 미 국무부는 비밀 해제 규정에 따라 23일(현지시간) 인터넷 등에 1300쪽에 달하는 1977~80년 인권 및 국제 관계와 관련된 외교 기밀 문서를 공개했다. 문서들에 따르면 80년 4월 29일 당시 패트릭 데리안 국무부 인권담당 차관보는 크리스토퍼 워런 국무장관 대행에게 “한국의 전두환 장군이 중앙정보부장 서리 자리에 오른 건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그가 새로운 박정희가 되려고 하거나 유신 같은 영구 집권을 획책하려는 걸 바로잡아야 한다”고 보고했다.

 특히 데리안 차관보는 “한국 정부가 계엄령을 해제하고 정치적 자유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미국은 계속 압박을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은 79년 12·12 쿠데타를 주도한 데 이어, 80년 4월 17일 중앙정보부장 서리 자리에 오른 뒤 기자회견 등에서 계엄령을 해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미 카터 대통령이 취임한 직후인 77년 5월 11일 미 중앙정보국(CIA)이 작성한 보고서에는 “박정희 대통령은 북한 위협 때문에 한국에선 독재적 통치스타일이 필요하다고 확신하고 있다”고 적었다.

 77년 10월 20일 윌리엄 오돔 국가안보회의(NSC) 참모가 즈비그뉴 브레진스키 대통령 국가안보보좌관에게 보낸 비망록에는 “박정희가 죄 없는 사람들을 감옥에 가두더라도 미국은 한국을 여전히 편들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그게 끝이 돼선 안 되고, (인권 상황을) 수시로 감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워싱턴=박승희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