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사회 환경 개선부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률이 전년보다 7.0%포인트나 증가한 18.4%로 성인(9.1%)의 2배를 넘는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만 5~49세 인터넷 사용자 1만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3일 발표한 결과다. 한창 자라야 할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게임·채팅에 빠지고 기억·정보를 기기에만 의존하는 바람에 제대로 된 지적 성장이나 인간관계 형성을 방해 받을 정도라는 우려가 나올 만하다.

 근본 배경은 6~19세 아동·청소년의 스마트 기기 보유율이 빠르게 증가한다는 점이다. 미래부에 따르면 지난해 이 연령대 스마트 기기 보유율은 65.5%로 전년보다 3배로 늘었다.

 새누리당은 이미 지난 7일 학내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내용의 ‘초·중등교육법 일부 개정 법률안’을 발의했다. “최근 학교 내에서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거나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해 특정 학생을 따돌리는 등 정상적인 교육활동에 지장을 주고 있다”는 새누리당 권은희 의원의 배경 설명도 이해가 간다. 하지만 현재 상황을 보면 이렇게 물리적으로 이용을 제한하는 것 정도로는 문제 해결을 기대하기 어렵다.

 미래창조과학부·교육부·법무부·국방부·문화체육관광부·보건복지부·여성가족부·방송통신위원회 등 8개 부처는 인터넷 중독 예방부터 상담·치료·사후관리까지 단계별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종합계획을 내놨다. 여러 유관 부처가 머리를 맞대고 대책을 마련하는 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 문제는 알코올이나 약물 중독 대처법을 연상시키는 몇 가지 정책만으로는 바로잡을 수 없는 복잡한 성격이다.

 따라서 우선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정확한 원인과 성격을 사회·심리·보건·의학·교육·문화 등 다양한 도구로 보다 자세히 조사·연구해 밝혀내는 게 순서다. 그런 다음 다양한 해결책을 마련해 이를 가정·학교·학원·종교단체·스포츠시설 등 청소년이 모이는 여러 장소에 입체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 결국 사회 전체가 나서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막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