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총장선출권 분쟁 장기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지역 국립대 총장 선거를 둘러싼 교수·교직원간 분규가 장기화되고 있다.

상주대는 최근 대학 측이 교직원·학생들에게 총장 선거권을 부여한다는 합의를 해 사태가 해결되는 듯했지만 교수들이 반발하면서 분규가 다시 불거지는 양상이다.안동대는 교수·교직원 대표가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해 총장 선거가 계속 미뤄지고 있다.

상주대 교수협의회와 민주화교수협의회는 최근 낸 성명서를 통해 지난달 말 총장·총장당선자·교무처장과 ‘총장 선출권 쟁취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대표·총학생회 대표 사이의 합의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합의서는 총장 선출규정 개정을 위해 교수·교직원·학생 대표 8명으로 소위원회를 구성,직원과 학생에게 선거권을 부여하고 학내 주요 의결기구에 참여를 보장토록 하는 규정을 다음달 20일까지 개정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규정이 개정되면 다음 총장 선거때부터 교직원과 학생들도 총장 선거에 투표할 수 있게 된다.

교수협의회 등은 규정 개정은 교수회의 의결로 결정할 문제지 대학 본부나 공대위 등이 합의해 처리할 사안이 아니라고 반박하며 합의서는 효력이 없다고 못박았다.

교협의 김진현(기계공학부 교수)회장은 “교육공무원 임용령 등 관련 법규는 교수들이 총장을 선출토록 규정하고 있다”며 “이같은 밀실합의는 교권을 침해하는 용납할 수 없는 행위로 무효”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학 측은 학교 구성원간 합의만 있으면 교직원·학생에게도 투표권을 줄 수 있다며 학교 안정을 위해서도 사태를 풀어야 하는 만큼 반발하는 교수들에 대한 설득작업에 나서기로 했다.공대위 측도 “합의문은 법적 효력이 있는 만큼 교협의 주장에 대응하지 않겠다”는 반응이다.

안동대는 총장 선거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

안동대 교수 대표와 공대위 대표들은 8일 협상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공대위 측은 “교수들이 우편 투표를 준비하고 있다”며 “교수들이 이처럼 비민주적인 투표를 강행할 경우 앞으로 일어날 모든 사태는 교수들이 책임져야 할 것”이라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안동대는 총장 선출 시한인 21일까지 선거를 하지 못하면 새 학기 교무처장이 총장 직무를 대행하는 체제로 간다는 방침이다.

상주대는 지난해 12월 17일 총장 선출권 보장을 요구하는 공대위가 교수들의 투표를 실력 저지한데 이어 지난달 23일 두번째 투표도 저지하자 투표장소를 바꿔 총장을 선거하는 등 갈등을 겪었다.안동대도 공대위의 투표 저지로 총장 선거를 하지 못하고 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